이슈빠



본문

‘원주민 인정’ 역사적 국민투표 앞둔 호주 여론은

  • 작성자: 안중근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423
  • 2023.09.19
http://n.news.naver.com/article/032/0003247201?sid=104
“애버리진(호주 원주민)과 토레스해협 주민들을 위한 헌법 기구를 세움으로써 이들을 호주 최초의 주민으로 인정하도록 합니다. 당신은 이러한 개헌에 찬성합니까?”

호주 국민들이 다음달 14일 국민투표에서 받게 될 질문이다. 이번 투표를 통해 호주는 원주민의 지위와 권리 보장을 위한 헌법 기구 ‘보이스’를 설립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유권자들이 투표 용지에 ‘예스(Yes·찬성)’ 또는 ‘노(No·반대)’를 적어내야 함에 따라, 찬반 양측은 각각 예스·노 캠페인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현재로선 ‘예스’ 측이 분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투표일을 6주 앞둔 4일(현지시간) 호주 매체 ‘디오스트레일리안’이 실시한 여론 조사를 보면, 개헌 반대가 53%로 찬성(38%)보다 높았다. 같은 날 영국 가디언이 자체 조사한 결과에서도 48%가 반대, 42%는 찬성을 답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애버리진과 토레스 해협 주민으로 구성되는 호주 원주민은 6만년 이상 호주 대륙에 거주했으며, 현재 호주 전체 인구의 약 3.2%를 차지한다. 이들은 고유의 역사, 전통, 언어를 각각보유한 수백개의 하위 그룹으로 이뤄져 있다.

오래도록 대륙의 주인으로 살던 이들은 1788년 영국이 호주를 식민지로 만들면서 ‘인간 이하’의 처지로 전락했다. 호주 헌법은 ‘주인이 없는 땅에 국가를 세웠다’는 논리에 기반해 작성됐으므로, 이에 따르면 호주 원주민은 사람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원주민들은 새로운 질병에 노출됐으며 노예나 다름없는 환경에서 노동을 강요당하면서 인구수가 급감했다. 원주민 말살 정책에 따라 토지를 약탈당했고, 아이도 빼앗겨 백인 가정에 강제로 입양 보내야 했다. 1910년부터 1970년대까지 이러한 동화 정책에 따라 가족과 떨어진 원주민 어린이는 3명 중 1명 꼴이다.

원주민은 1967년에서야 개헌을 통해 호주 공식 인구 조사에 포함됐다. 그간 호주 정부가 과거의 말살 정책을 공식 사과하는 등 원주민 권리와 지위 향상에 일부 진전이 있긴 했지만, 원주민들은 여전히 사회적으로 크게 소외돼 있다. 이들은 높은 자살률과 범죄율 등에 시달리고 있으며 기대수명 또한 비원주민 집단에 비해 8년이나 짧다.

이에 따라 원주민의 지위와 권리를 헌법으로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기 시작했다. 캐나다는 1982년 개정된 헌법에 따라 원주민의 권리를 인정한다. 뉴질랜드는 1840년 일찌감치 ‘와이탕이 조약’을 맺어 원주민인 마오리족 문화 보호를 약속하고 마오리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했다. 의회에 마오리 의석도 신설했다.

(중략)


개헌을 위해선 두 가지 조건을 갖춰야 한다. 투표자 중 절반 이상이 찬성해야 하며, 호주 6개 주 중 4개 주 이상에서 찬성이 과반을 획득해야 한다. 호주에서는 지금까지 44차례 개헌을 추진했지만, 이 중 19건만 국민투표에 부쳐졌고 가결된 건 8건에 불과하다. 가장 최근에 투표에 부쳐진 개헌안은 1999년으로, 국가 체제를 왕정에서 공화정으로 전환하는 건이었다. 이 역시 부결됐다.
김서영 기자 westzero@kyunghyang.com

((현재로선 ‘예스’ 측이 분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투표일을 6주 앞둔 4일(현지시간) 호주 매체 ‘디오스트레일리안’이 실시한 여론 조사를 보면, 개헌 반대가 53%로 찬성(38%)보다 높았다. 같은 날 영국 가디언이 자체 조사한 결과에서도 48%가 반대, 42%는 찬성을 답했다.))

여론조사에서 반대가 더 높다는게 충격이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71166 "한국 포털 맞아?"…축구 한중전에 中 응원… WhyWhyWhy 10.02 165 0 0
171165 충북 청주 오창휴게소 보행하던 부부 덮친 S… ZALMAN 10.02 74 0 0
171164 한국 남자복싱, 9년 만의 메달…92㎏급 … 우량주 10.02 46 0 0
171163 추석 연휴 15세 아들이 휘두른 흉기에 40… 닭가슴살쉐이크 10.01 202 0 0
171162 '5만 관중 침묵' 한국, 중국과 8강 2-… 화창함 10.01 134 0 0
171161 같은 美공연 티켓 판매 부진사태인데…십센치 … 민족고대 10.01 392 0 0
171160 정신과 퇴원 후 자살자 수… 일반 인구집단의… 인생은한방 10.01 294 0 0
171159 내년 올림픽 개최지 파리 '빈대와 전쟁' 선… 딜러 10.01 255 0 0
171158 지드래곤, YG 떠나 워너 뮤직 합류 공식화… 잊을못 10.01 433 0 0
171157 중국과 인도 모두 화나게 만든 만평.jpg 뜨악 10.01 667 0 0
171156 오늘부터 우윳값 오른다…빵·아이스크림도 '줄… gami 10.01 256 0 0
171155 혈연만 가족인가요…국민 10명 중 7명 “비… never 10.01 319 0 0
171154 “하의 벗은 남자가 쫓아와요” 신고하자 경찰… 김무식 10.01 313 0 0
171153 암에 파킨슨·치매 걸린 아내…그 남자의 '헤… Homework 10.01 295 0 0
171152 주차장 알몸 성폭행 신고했더니 오히려 무고죄… 희연이아빠 10.01 342 0 0
171151 패러글라이딩 하던 조종사와 여성 체험객 추락… 던함 09.30 697 0 0
171150 '소록도 천사' 마가렛 간호사 오스트리아서 … 라이브 09.30 315 2 0
171149 LVMH 아르노 회장, 러 사업가와 자금세탁… 결사반대 09.30 348 0 0
171148 소림축구 부추기는 中언론… 이강인의 군면제,… 판피린 09.30 529 0 0
171147 뉴욕시에 '시간당 최대 101mm' 집중호우… 스트라우스 09.30 326 0 0
171146 月 300만원 버는데도 “도저히 빚 못 갚겠… note 09.30 374 0 0
171145 10대 여학생 성폭행하고 구조요청 하자 얼굴… 추천합니다 09.30 432 0 0
171144 “4명 영화관 가면 6만원…넷플릭스나 보자”… 던함 09.30 336 0 0
171143 술 취해 에어컨 줄에 걸려 7층 높이 외벽에… context 09.30 271 0 0
171142 IMF 때보다 '심각한 수준'...무더기 도… 몸짓 09.30 488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