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물질과 악취] 고무호스를 연결해 물을 받으면 생긴다 | 정보+썰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보+썰빠



본문

[유해물질과 악취] 고무호스를 연결해 물을 받으면 생긴다

  • 입덕
  • 조회 1517
  • 2018.11.07

영상이 바로 안 뜨면 새로고침하세요.

✧ 기사 본문 - 데이터 절약용은
영상 아래에 있습니다.



"김장 망치지 않게 고무호스 멀리하세요" / YTN -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v0hVuHArBVQ

게시일: 2018. 11. 6.

[앵커]
수도꼭지에 고무호스를 연결해 물을 받으면 유해물질과 함께 악취가 생긴다는 사실 알고 계셨습니까?

요즘, 고무호스를 집 밖으로 연결해 김치를 담그는 장면을 종종 볼 수 있는데 냄새 때문에 김장을 망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겠습니다.

이문석 기자입니다.

[기자]
김장철이면 상수도 사업본부에 항의 전화가 잦아집니다.

수돗물에서 역한 냄새가 나 애써 담근 김치를 다 버리게 됐다는 하소연입니다.

하지만 그 원인은 수돗물 문제가 아니라 다른 데 있었습니다.

바로 고무호스입니다.

수돗물 속에는 정수 과정에 생긴 염소가 들어있습니다.

이 잔류 염소가 고무호스 속 페놀 성분과 반응해 악취 유발자인 '클로로페놀'을 만들어냅니다.

이 물질은 몸에 좋지 않을뿐더러 끓여도 냄새나 유해성분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김장이나 음식을 할 때는 수도꼭지에서 물을 바로 받아 쓰는 게 좋습니다.

[이상욱 /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고무호스를) 절대 음식물에 사용하지 말라고 계속 홍보를 하는 중인데 그래도 일부 시민들은 잘 모르시고, 대부분 잘 모르시는 것 같아요.]

호스가 꼭 필요한 경우라면 값이 조금 더 나가더라도 실리콘 재질이나 무독성인 음용수용 호스를 사용하라는 설명입니다.

[유영일 / 호스 전문판매업자 : 김장(용)이나, 식당에서 소비자가 오시게 되면 저희는 식품용 호스를 사용하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어렵게 담근 김치를 망치는 일이 없도록 김장철에 고무호스를 멀리하라는 상수도사업본부의 호소를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날짜
11230 가장 높은 시 스택 11.07
11229 단편영화 레쩨 플룩 - Der… 11.07
11228 어느 디자이너의 닥스훈트 피규… 11.07
11227 서양인들의 캠핑 요리 11.07
11226 올리브오일 똑똑하고 건강하게 … 11.07
11225 서울시, 자전거 전용 고가도로… 11.07
11224 3가지 동작만 마스터하면 당신… 11.07
11223 오늘 라디오스타 출연진.jpg 11.07
11222 당신의 어깨는 평균 이상인가?… 11.07
11221 여친이랑 밥먹으러갈때 꿀팁 11.07
11220 경기도 '심야버스' 14개 노… 11.07
11219 극진가라데 살인병기무술 11.07
11218 김수미님 스타일 대구뽈찜..쫄… 11.07
11217 [유해물질과 악취] 고무호스를… 11.07
11216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조치…노후… 11.07
11215 왜 미국 선거는 화요일?.tx… 11.07
11214 [유튜브] 영어 접두어 for… 11.07
11213 샤오미 포코F1 국내 런칭 발… 11.06
11212 돼지비계 먹어도 된다~!? 11.06
11211 경기도 광주에서 열리는 고전게… 11.06
11210 미세먼지 젊은층 조기치매 11.06
11209 모니터 한대로 듀얼 모니터 사… 11.06
11208 9급 공무원 봉급표 11.06
11207 과일장사로 400억 벌어서 고… 11.06
11206 2018 사회 조사 결과(가족… 11.06

 

 



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Copyright © threppa.com. All rights reserved.
광고 및 제휴, 게시물 삭제, 기타 문의 : threppa@gmail.com
Supported by itsBK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