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고령자, 단백질 30% 더 필요… 많이 먹기보다 '생물가' 높은 식품 드세요 [기사]

  • 작성자: 패턴을그리세요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936
  • 2019.03.26

 고령자가 에너지(열량) 섭취를 적절히 하지 않으면 기력이 떨어지고 근육이 힘을 잃어 심하면 노쇠에 이른다. 따라서 적정 수준의 에너지가 섭취가 필요한데, 특히 근감소증 예방을 위해서는 근육을 조성하는 '연금술사'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부적절한 영양 섭취가 노쇠 주요 요인
국내 65~74세 인구의 56%와 75세 이상 인구의 71%는 에너지를 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한다(국민건강영양조사). 이처럼 부족한 에너지 섭취는 고령자의 신체 전반에 기능 저하를 불러오고 노쇠 발생 위험을 키운다. 일본의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에너지와 단백질, 지방 섭취가 부족한 65~86세 고령자 36%에서 2년 후 노쇠가 발생했다. 싱가포르에서 실시한 대규모 연구에서도 영양 불량 고위험 그룹은 정상 그룹에 비해 노쇠 위험이 17.4배 높았다.

/그래픽=김하경
노쇠는 근육 감소, 뼈 약화, 기력 저하, 우울증 등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이들 노쇠 유발 요인에는 음식이 상당한 영향을 준다.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한성림 교수는 "적절한 영양소 섭취는 체내 여러 기능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 중요하다"며 "근육의 20%를 차지하는 단백질 섭취가 식사를 통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면 근육 단백질이 분해되고 합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근육 소실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단백질 보충이 신체 기능, 근육 기능, 악력, 근섬유량을 개선한다는 연구는 많지만, 국내 65세 이상 남성 43.4%와 여성 66.2%는 단백질을 권장 섭취량보다 적게 섭취한다.
◇고령자는 단백질 30% 더 섭취해야
단백질은 검정콩, 닭·소·돼지고기, 생선, 달걀 등에 많다. 일반 성인은 체중 1㎏당 하루 0.9g의 단백질을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한국영양학회와 대한노인병학회가 노쇠 예방을 위해 제시하는 단백질 권장 섭취량은 체중 1㎏당 1.2g이다. 일반 성인보다 약 30% 더 많은 양이다. 이 기준에 따를 경우 체중이 60㎏인 고령자라면 하루에 72g의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 72g은 달걀 약 10개나 닭고기·소고기·돼지고기 약 300g, 검정콩 약 190g에 각각 들어 있는 분량이다.
단백질 섭취가 중요하긴 하지만 지나치면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원광대 식품영양학과 손정민 교수(한국임상영양학회 회장)는 "과다한 단백질 섭취는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 섭취량이 많을수록 좋은 것은 아니다"라며 "특히 만성콩팥병 환자가 단백질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요독증을 일으키고 콩팥 손상이 더 빨리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영양사협회의 '만성콩팥병 가이드라인'에서는, 만성콩팥병 환자는 체중 1㎏당 0.6~0.8g의 단백질을 섭취할 것을 권고한다. 손정민 교수는 "콩팥의 부담을 덜기 위해서는 적은 양을 섭취해도 단백질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식품이 좋다"며 "여러 연구들도, 전체 단백질 섭취량의 50%를 생물가(生物價)가 높은 식품으로 섭취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생물가는 섭취한 단백질 중에서 유지, 성장에 사용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말로, 생물가가 높으면 적은 양을 섭취해도 효율은 높기 때문에 콩팥에 부담을 적게 준다. 달걀(96)과 우유(90)는 생물가가 가장 높은 식품이다. 소고기와 치즈의 생물가는 각각 73, 70이다.
◇단백질 소화·흡수력 높이는 조리법
고령자는 씹는 능력과 소화, 흡수력이 약하기 때문에 단백질 소화, 흡수를 원활하게 해주는 조리법이 도움된다.
예를 들면, 콩은 소금물에 담가서 불린 후에 삶으면 단백질 구성 성분인 아미노산 이용률이 높아진다. 육류는 결의 직각 방향으로 칼집을 내주면 근섬유가 짧게 끊어져 소화가 쉽다. 배, 파인애플 등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가 있어서 단백질 흡수를 돕는다. 소금이나 식초, 설탕, 꿀을 적당량 첨가해도 화학 반응이 일어나 육질이 부드러워진다.
단백질 활성을 돕는 영양소도 알아두면 좋다. 손정민 교수는 "단백질은 근육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 요소지만 탄수화물, 비타민B6, 마그네슘도 필요하다"며 "탄수화물이 부족하면 우리 몸은 저장된 단백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체내 단백질량을 줄여 근육 감소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비타민B6도 단백질 대사에 관여하기 때문에 근육 유지에 필수적이고, 마그네슘도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활성화시키고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
공동 기획: 한국임상영양학회·대한노인병학회


/ 김공필 헬스조선 기자 kpkim @ chosun . com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5205 [과학을 읽다]"로봇! 줄기세포를 그곳에 전… Homework 10.31 939 1 0
5204 친선전 야유논란 종결?! 페라리 10.20 939 1 0
5203 고령자, 단백질 30% 더 필요… 많이 먹기… 패턴을그리세요 03.26 939 0 0
5202 윈도우10 다들 잘 모르는 기능.jpg 깐쇼새우 09.20 939 1 0
5201 독일 우한폐렴환자는 이미 2차 감염자였군요.… 본방 01.29 939 0 0
5200 코로나 ‘심각’ 단계로 격상하며 바뀌는 점들 덴마크 02.24 939 0 0
5199 현재 미세먼지 상황 글쎄 01.09 939 0 0
5198 자가검사키트 '약국·편의점'에서만 사세요…중… 인생은한방 02.19 939 0 0
5197 인공 감미료 섭취자, 암 발병 위험 최대 1… 선진국은좌파 03.28 939 0 0
5196 '청담동 스쿨존 사망사고' 故 이동원 군 … 화창함 12.17 939 0 0
5195 핸드크림마다 보습력 차이 커…가장 비싼 제품… note 01.02 939 0 0
5194 우리가 매일 먹는 영양제의 충격적 배신 덴마크 02.04 939 0 0
5193 신기할정도로 한국을 카피하는 나라 corea 06.21 939 0 0
5192 5분 만에 행복해지는 네 가지 방법 몸짓 09.05 939 0 0
5191 한국인 연령대별 혈당 참조표준.jpg 토닥스 12.22 938 1 0
5190 환절기 면역력 강화 슈퍼푸드 BEST5 입덕 03.21 938 1 0
5189 만 12세까지 뇌염 백신 필수… 모기 물린 … 1682483257 06.21 938 1 0
5188 성체 훼손 관련 천주교 주교 회의 공식 입장… 스펀지 07.11 938 0 0
5187 면접 노하우 제 주관적인 노하우입니다.(신입… 스콧트 09.04 938 0 0
5186 실생활에 유용한 중국어 모음 .txt 도장깨기 06.12 938 0 0
5185 주민번호 부여체계 개편계획 - 내년 10월부… 금vs은 12.24 938 1 0
5184 에어프라이어 사용 시 권장 조리법 지키고 감… 담배한보루 12.26 938 1 0
5183 황혼의 아픔… 남성 이혼상담 절반이 60대 … 피로엔박카스 05.26 938 0 0
5182 "명문대 덫에 걸린 韓"…교육비 펑펑써도 생… 인생은한방 11.16 938 0 0
5181 올해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 순위.… goldidea 08.13 938 1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