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서울은 ‘나쁜 심장’ 같아요, 순환이 안 되잖아요” [절반의 한국]

  • 작성자: 우량주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931
  • 2022.05.28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102482?sid=001

■돈을 밟고 서야 잡을 수 있는 서울의 ‘기회’

“수도권에서 태어난 것만으로 이미 출발점이 달라요. 누릴 수 있는 ‘문화자본’과 ‘인간자본’에서 차이가 크니까요. 서울 출신들은 금수저, 은수저에 버금가는 ‘서울수저’ 아닌가요.” 부산에서 교사로 일하는 황경림씨(26)가 말했다. 충북의 대학을 나와 임용고시라는 바늘구멍을 통과했지만, 그에게도 서울 거주자가 누리는 특권은 커 보였다. 충남의 한 소도시 출신 통역사 이모씨(27)는 인터뷰 도중 ‘기회’라는 말을 자주 했다. 통역사가 필요한 행사들의 절대다수는 수도권, 그중에서도 서울시내 몇 곳에 몰려 있어, 고향에 머물며 통역일은 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통역은 서울에서 ‘스탠바이’하고 있어야 기회를 잡는 경우가 많아요.”

전북 남원에서 공중보건의로 일하는 공모씨(28)는 “그냥 흘려보내는 시간에도 높은 수준의 뭔가에 노출돼 있다는 게 서울살이의 가장 큰 특권”이라고 말했다. 대도시에서 보고 듣는 것, 만나는 사람 모두 개인의 성장을 자극한다는 의미다. 부산 출신으로 제주에서 공기업에 다니는 A씨(26)도 “실제로 뭘 얻진 않더라도 얻을 가능성을 얻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그러나 기회를 얻는 데는 돈이 든다. ‘입경(入京) 비용’이 얼마인지에 대해 월세(서울시내 원룸 기준), 생활비를 합해 100만원(월평균)을 최소 기준으로 꼽았다. 보증금을 합하면 1000만~2000만원이 추가된다. 상경한 청년들은 돈 문제 해결을 가장 힘겨워했다.

서울의 게임회사에 다니는 이다은씨(23·부산)는 “고향에 있는 대학에 다녔더라면 집 한 채는 샀을 것”이라는 말을 버릇처럼 되뇐다. 강원 태백 출신으로 서울에 사는 취업준비생 공모씨(29)는 “서울살이는 돈을 밟고 서 있는 기분”이라고 했다.

지방 출신이고, 지방에서 살기에 겪는 설움도 적잖이 있다. 대구에서 나고 자라 서울 취업을 준비 중인 곽미경씨(27)는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초기 대구에 쏟아진 비난을 잊을 수 없다. 대구지역 신천지교회를 중심으로 감염병이 확산하자 대구·경북은 아예 ‘혐오의 대상’이 되다시피 했다. “수도권 확진자 비율이 압도적이지만 아무도 수도권을 탓하지 않잖아요. 결국 지방에 대한 차별적 시선 때문인 것 아닌가요?”

수도권 중심사고는 일상도 불편하게 한다. 코로나19로 고향 대구에 머물며 경기도의 한 대학에 다니는 홍모씨(23)는 조별 과제를 할 때마다 기분이 좋지 않다. “조별 과제에 10명이 모일 때가 있었는데 3명만 서울, 나머지는 전국 각지에 있었어요. 그런데도 당연하다는 듯 서울에서 모임을 잡아요. 중간인 대전에서 만나도 되는데 거절하더라고요.”

사회 참여 기회에서 격차를 느낀다는 이도 있었다. 차민구씨(27·울산)는 “(이명박 정부 초기) 광화문은 전쟁이 일어날 것만 같았다. 거기 가야 대한민국 정치에 참여한다는 느낌이 들 텐데 울산에 있느라 그러지 못했다”고 말했다. 지방의 목소리는 주목받지 못하는 “고요 속 의 외침”(김재민·25·충주)일 뿐이다.

청년들은 미디어의 수도권 편향이 지방 거주자의 박탈감을 키운다고 했다. 미디어 속 배경과 기준은 수도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강현우씨(21·강원 양구)는 “우리 동네 거리 두기 단계는 몰라도 서울이 몇 단계인지는 꿰고 있다. 언론이나 포털 사이트의 기준이 늘 서울이니 싫어도 자연스럽게 외워진다”고 했다. ‘여의도 면적 몇 배’로 넓이를 표현하거나, 비수도권 이슈를 다룰 때 농어촌 풍경을 등장시키는 ‘타자(他者)화’와 ‘오리엔탈리즘’에서 언론이 벗어나야 한다고 했다.

■좋든 싫든 거쳐야 하는 ‘플랫폼 서울’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것은 수도권이 ‘플랫폼’이나 포털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서울이 싫더라도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가야 한다. 새로운 아이디어와 사업은 이 인적 자본에서 탄생한다. 하버드대 에드워드 글레이저 교수도 <도시의 승리>에서 서울의 성공 요인으로 전국에서 몰린 ‘인적 자본’을 꼽았다.

고향 부산에서 프리랜서로 영상 업무를 하는 안모씨(25)는 대학 시절을 보낸 서울을 이렇게 표현했다. “비서울 인프라(지방 청년)들이 서울에 모여 서울의 가치를 높여주는 게 아닐까 싶었어요.” 가수 겸 작곡가로 세종에 거주 중인 최도원씨(23)는 서울을 사람들이 몰리는 카페에 비유했다. 두 사람은 모두 조만간 서울로 올라갈 생각이다.

■서울은 ‘나쁜 심장’

청년들은 서울 입성을 성공이나 주류 사회 진입으로 여겼다. 대구 출신으로 서울의 대학을 졸업한 뒤 전남 나주의 공기업에 다니는 B씨(26)는 “서울로 올라가야 ‘그들의 리그’에 낄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최종 면접 전날 울었다고 했다. “붙고 싶은데 안 붙고 싶었어요. 붙으면 여기(나주)서 살아야 하니까요.”

서울만이 주류라는 감각은 지방 거주를 ‘낙오’나 ‘실패’로 여기도록 한다. 서울의 대학으로 진학했거나 서울 진학·취업 등을 목표로 삼다 유턴한 이들에게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금의환향이 아니라 실패해서 돌아가는 느낌”(김모씨·30·울산), “실패한 짝사랑”(권모씨·24·강릉).

황경림씨는 서울을 ‘나쁜 심장’이라고 표현했다. 자원을 빨아들이기만 할 뿐 지방과 나누지 않기 때문이다. “심장이 펌프질을 해 피를 온몸에 내보내야 하는데 머금고만 있는 것 같아요. 순환이 안 되니 지방 발전은 더디죠.”

나고 자라며 고향의 쇠락을 지켜봐 온 청년들은 수도권 집중이 더 이상 지속돼선 안 된다고 했다. 공공기관 이전, 일자리 창출, 기업의 지역 이전, 미디어의 지역 보도 강화 등을 주문했다. ‘이미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체념하는 이들도 상당수였다. “(불균형) 개선은 이미 불가능하다” “안타깝지만 내가 맞추는 수밖에 없다”(이효연·22·대구).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5005 ‘면마스크로 외출 안 돼’ 올겨울 최악의 대… 협객 01.08 933 0 0
5004 포브스 선정 한국 최고은행에 '토스뱅크'…2… marketer 04.13 933 0 0
5003 유승호 "'집으로' 속 내 모습...쥐어박고… 매국누리당 09.27 933 0 0
5002 다주택자 버티기에 ‘종부세 인상’ 고강도 압… restart 12.28 932 0 0
5001 밀가루 음식 맛나고 더위 시작되는 오늘은 소… KBO리그 07.07 932 0 0
5000 [구글플레이] KM Pro HD Player… 몇가지질문 12.01 932 0 0
4999 우리나라 암의 종류 미더덕 03.20 932 1 0
4998 하태경 의원, 워마드 "인터폴 수배" 요청하… boldpark 05.31 932 0 0
4997 일본 육군 대장을 처단한 독립 투사.jpg DNANT 07.10 932 0 0
4996 스승의 날이 같은나라 DNANT 07.29 932 0 0
4995 5호선 가볼곳, 볼거리.jpg 300tree 08.19 932 1 0
4994 도쿄올림픽은 방사능 초밥 feat.워싱턴포스… 사커대디 08.23 932 1 0
4993 에픽 게임즈 무료 배포 Bad North: … 이론만 11.22 932 0 0
4992 ③ ‘밀양 송전탑 사태’ 전국서 재연, 왜? ZALMAN 07.21 932 0 0
4991 오겜 2, 2024년 공개… “이정재의 복수… 무서븐세상 09.14 932 0 0
4990 오뚜기, ‘춘식이’ 띠부씰 동봉한 뿌셔뿌셔 … DNANT 09.15 932 0 0
4989 우주 최초의 X사건 우뢰매 05.11 932 0 0
4988 한국 예능을 본 일본인들의 반응 세수한번모태범 08.13 932 1 0
4987 배부른데도 굶어죽는 나무늘보...이대로라면 … blogger 09.25 932 0 0
4986 내일 중국발 미세먼지 영향권 8888 10.14 931 0 0
4985 [SBS 뉴스] 음주 뺑소니에 예비 대학생 … 아냐모르냐 02.25 931 2 0
4984 지역별 대표음식 베른하르트 07.28 931 1 0
4983 우주에서 1년 살면 우리 몸은 어떻게 변할까 폭두직딩 08.24 931 1 0
4982 해외파 축구선수 탕웨이 12.02 931 1 0
4981 기생충 미국 흥행이 여전히 좋네요 ㅋㅋ 02.06 931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