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국제 콩쿠르 휩쓴 한국 음악가 … 60년간 148차례 우승 [기사]

  • 작성자: 바르셀로나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1775
  • 2017.11.13
국제 콩쿠르 60돌, 성적 분석해보니
공인된 대회 125개 중 96개서 입상
성악은 신생대회 1개 빼고 다 입상
주요 콩쿠르 11개 우승자만 28명

피아노·성악·바이올린 쏠림 심해
송지원 바이올린 4회 최다 우승
2015년 3대 음악 콩쿠르의 하나인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한 피아니스트 조성진. [중앙포토]
지난달 23일 네덜란드 위트레흐에서 피아니스트 홍민수(25)가 리스트 국제 콩쿠르 2위에 입상했다. 닷새 후 지휘자 차웅(33)은 이탈리아 파르마에서 토스카니니 국제 콩쿠르 2위에 입상했다. 이처럼 한국인이 입상한 국제 콩쿠르는 올해만 9개다.

올해는 유네스코 산하의 국제 콩쿠르 세계 연맹( World Federation of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s , WFIMC ) 창립 60주년이다. 현재 ‘국제 콩쿠르’라 불릴 수 있는 대회들이 60년 됐다는 뜻이다. 한국 음악가들은 그동안 얼마나 많은 콩쿠르에서 입상했을까. 무서운 기세로 국제 대회를 휩쓸고 있는 한국인 입상 현황을 분석했다.

콩쿠르 대부분 점령한 한국인

전체 125개 국제 콩쿠르 중 수상한 한국인 입상자가 나온 대회는 96개다.
현재 공인된 국제 콩쿠르는 125개다. WFIMC 의 조건에 맞춰 가입 승인을 받은 대회들이다. 세계 각 지역에서 더 많은 콩쿠르가 열리지만 WFIMC 는 기준에 맞는 콩쿠르를 국제 대회로 인증한다. 한 번 가입 됐더라도 기준에 맞지 않으면 연맹에서 나간다. 한국 음악가는 125개 콩쿠르 대부분에서 우승하거나 입상했다. 1~3위에 한국인이 한명도 없는 콩쿠르는 29개. 즉 96개 콩쿠르에서 한국인 입상자가 한 번이라도 나왔다는 뜻이다. 웬만한 독주자 콩쿠르는 한국인 입상자가 나왔다.

특히 주요 콩쿠르라 할 수 있는 대회는 모두 한국인의 우승 이력이 있다. WFIMC 가 설립되던 해부터 연맹의 멤버였던 초창기 대회 11개에서 우승한 한국인은 총 28명이다. 2015년 쇼팽 국제 콩쿠르의 피아니스트 조성진(23), 같은 해 파가니니 국제 콩쿠르의 바이올리니스트 양인모(22)와 부조니 국제 콩쿠르의 피아니스트 문지영(22) 등이다. 그밖에도 독일 ARD 콩쿠르, 스위스 제네바 콩쿠르, 이탈리아 비오티 콩쿠르, 프랑스 롱티보 콩쿠르에서도 한국 연주자들은 우승자 명단에 올랐다.

피아노·성악의 기세

피아노와 성악 대회의 우승자가 전체의 55%다.
한국은 피아노와 성악의 강국이다. 이 문장은 이제 숫자로 증명할 수 있다. 한국의 음악가들은 60년동안 전세계 국제 콩쿠르에서 148번 우승을 했다. 그 중 피아노·성악의 우승이 각각 42·40번. 절반 이상이 두 분야에서 나왔다. 그 다음으론 바이올린(36번) 우승자가 많았고 네번째로 우승자가 많은 첼로(7번)의 성적과는 차이가 많이 났다.

특히 성악은 한 개의 콩쿠르를 제외하고 모두 한국인 입상 이력이 있다.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오페라 콩쿠르에만 한국인 입상 이력이 없는데, 지난해 시작된 신생 대회다. 스페인의 빌바오 성악 콩쿠르는 1996~2012년 한국인 우승자만 7명이 나왔을 정도로 한국 성악의 기세는 무섭다.

2010년대에 비약적 증가

주요 국제 콩쿠르 우승자
첫 한국인 우승자는 첼리스트 정명화(73)다. 1971년 제네바 콩쿠르에서 우승을 했다. 46년동안 성적에는 극적인 변화가 있었다. 1970년대 우승자는 2명이었고 80년대엔 3명이었다. 90년대 13명, 2000년대 50명의 우승자가 나왔다. 2010~2017년의 우승자는 80명으로 늘어났다. 77년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설립, 92년 한국예술종합학교 개교 등의 영향이 보인다.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의 영재 연주자 출신인 국제 콩쿠르 입상자만 200여명. 한국예술종합학교는 피아니스트 손열음(31), 김선욱(29) 등 콩쿠르 스타들을 다수 배출했다.

콩쿠르 퀸의 탄생

2014년 중국 바이올린 콩쿠르 등 4개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콩쿠르 퀸’ 송지원. [중앙포토]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초중반 태생의 연주자 중엔 다관왕도 많다. 2회 이상 우승한 음악가가 19명. 가장 많이 우승한 연주자는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25)이다. 2014년 중국 바이올린 콩쿠르와 쇤필드 현악 콩쿠르에서 시작해 지난해 모차르트 바이올린 콩쿠르, 올해 통영에서 열린 윤이상 콩쿠르까지 모두 4회 우승을 했다. 커티스 음악원,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를 거쳐 현재 줄리아드 음악원에 재학 중인 송지원은 “2010년부터 콩쿠르를 나가기 시작했고 한번 출전할 때마다 엄청난 스트레스 속에 실력이 확 좋아지는 게 보였다”며 “네 번 우승했지만, 고배를 마신 콩쿠르가 몇 개인지는 기억도 나지 않을 정도”라고 했다. 그는 또 “좋은 성적을 거두려고 생각하면 콩쿠르에서는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며 “지금 하고 있는 작품이 얼마나 좋은지 꼭 보여주고 싶다라는 생각으로 연주할 때 좋은 성적이 나오더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피아니스트 이진상(36), 문지영과 바이올리니스트 조진주(29), 클라라 주미 강(30), 바리톤 정승기(38)가 3회 우승을 기록했다. 문지영 또한 “한번도 콩쿠르라고 생각하고 연주한 적이 없고, 내 공연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문지영은 국제 콩쿠르에 총 3번 참가해 3번 모두 우승했다.

확 늘어난 콩쿠르 우승
지휘·작곡·실내악 분야는 미진

한국인 입상 현황에서는 분야의 편중이 눈에 띈다. 특히 한국인 입상자가 없는 29개 콩쿠르는 지휘·작곡·실내악·오르간·타악기 대회가 많다. 상대적으로 이 분야를 다루는 연주자가 적고 음악가 대부분이 피아노·성악·바이올린에 몰려있다는 뜻이다. 특히 우승 148회 중 118회가 피아노·성악·바이올린에서 나왔다.

하지만 현악4중주 콩쿠르의 우승은 파커 콰르텟과 노부스 콰르텟의 총 2회다. 또 현악4중주단이 콩쿠르에서 입상한 총 횟수 5회 중 3번이 노부스 콰르텟의 이력이다. 음악계의 ‘기초체력’이라 할 수 있는 앙상블 팀이 한국에는 그만큼 적다는 뜻이다.

여러 국제 콩쿠르에서 심사한 경험이 있는 피아니스트 신수정은 “예전에 비해 한국 음악 교육의 질이 절대적으로 향상됐다는 증거”라며 “똑같은 곡에 여러 명이 매진하는 등 부작용도 물론 있지만, 클래식 시장의 절대적 크기가 작은 한국 연주자들이 국제 무대에 진출할 유일한 기회가 콩쿠르인 것은 부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호정 기자 wisehj @ joongang . co . kr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4380 세계 최악의 감옥 폭두직딩 11.13 1749 0 0
4379 혈액 순환에 좋은 음식 원숭이 11.13 1469 1 0
4378 대마초의 효능 호날두 11.13 2206 0 0
4377 밥그릇이 작아진 이유 Chivalry 11.13 1322 2 0
4376 펌) “퇴사후 못 받은 월급 달라는데 일한 … 에베레스트 11.13 2040 2 0
4375 수험생들 요금제 반값하네요ㅋㅋ 오하하 11.13 1041 0 0
4374 여자친구가 화를 내면 남자친구는 00하라 시노젖키아이 11.13 2312 1 0
4373 [펌] 소니는 어떻게 부활하였는가?.jpg 아론 11.13 1402 0 0
4372 [펌] 대우그룹은 어떻게 무너졌는가?.jpg 바르셀로나 11.13 1731 3 0
4371 2017년 상반기 일본 만화 순위 바르셀로나 11.13 1773 0 0
4370 세계 최악의 교도소 폭두직딩 11.13 1583 2 0
4369 인간들의 고정관념을 박살낸 5가지 이론 미스터리 11.13 2195 1 0
4368 미국의 동맹국 등급 및 적국.jpg 시노젖키아이 11.13 1818 1 0
4367 국제 콩쿠르 휩쓴 한국 음악가 … 60년간 … 바르셀로나 11.13 1776 0 0
4366 나의 색감능력 테스트 캡틴 11.13 2428 1 0
4365 빅평식 분노 (Feat. 미옥).jpg 러키 11.12 1924 1 0
4364 피부 노화 막는 청춘의 과일 6 헤어롤 11.12 2179 2 0
4363 실존했던 거대 생명체들 .jpg 피아니스터 11.12 2792 0 0
4362 볼보 트럭의 브레이크 성능.gif 스콧트 11.12 2032 1 0
4361 중세시대 유럽 화장실.jpg 암행어사 11.12 2625 0 0
4360 역대 미국 대통령 학벌 에베레스트 11.12 2133 2 0
4359 초간단 1인분 부대찌개 만들기.jpg 모닥불소년 11.12 2390 0 0
4358 세대별 선호하는 앱.jpg 로우가 11.12 2412 0 0
4357 정액의비밀 gameid 11.12 4200 0 0
4356 전기버스 '파워 업', 도로 풍경은 어떻게 … dvdrw 11.12 1472 1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