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친가와 외가 후손이 번갈아 벌초"…허례허식 없던 조선시대 추석 풍경

  • 작성자: 선진국은좌파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1306
  • 2022.09.05

조성당일기(김택룡, 1616년 8월 15일). 사진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조선 추석 풍경 일기 공개

예절·법식을 지난치게 따지는 등 지금보다 훨씬 보수적일 것 같은 조선시대 유림의 추석 풍경은 어땠을까. 조촐함은 없고, 번드레한 허례허식(虛禮虛飾)만 가득했을까. 

한국국학진흥원이 5일 조선시대 추석 풍경을 담은 일기를 공개했다. 약 54만점의 민간 기록유산을 보유한 한국국학진흥원은 조선시대 선비 일기 780여점을 소장 중이다. 

조선 선비 일기를 살펴보면, 성묘와 차례를 별도의 장소에서 나눠 지내지 않는 등 유림의 추석은 허례허식이 없고, 간소한 편이었다.  

허례허식 없고, 간소한 명절 지내기

경북 예천군에 살았던 초간 권문해는 『초간일기』 1582년 8월 15일자에서 "용문에 있는 선조 무덤에서 제사를 지내서 어머니를 모시고 산소에 올라갔다"고 적었다. 안동 예안 조성당 김택룡은 『조성당일기』 1617년 8월 15일자에서 "술과 과일을 마련하여 누이의 아들 정득, 조카 김형, 손자 괴를 데리고 가동(지명)의 선산에 올라 선영에 잔을 올리고 절을 했다”고 적었다. 김택룡은 1616년 같은 날 일기에서도 "가동의 선조 무덤에 제사를 지내므로 직접 그곳으로 갔다"고 썼다.  

경북 상주 청대 권상일은 1745년 8월 15일자 『청대일기』에 “시냇물이 불어나 건너기 어려워 산소에 성묘하러 갈 수가 없었다. 해가 저문 뒤에 손자 복인과 아우 상기가 술과 포를 조촐하게 갖추어 성묘하고 돌아왔다”고 기록했다. 

한국국학진흥원 측은 "추석 차례를 가족과 친척이 산소에 한 번에 모여 지내기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황이 여의치 않을 때는 간소한 제물로 성묘를 지낸 모습도 일기에 쓰여 있다"고 설명했다.

친가와 외가 구분도 없어

친가·외가·처가 구분 없이 차례를 지낼 만큼 보수적이지도 않았다. 김택룡의 『조성당일기』 1616년 8월 15일자에는 “가동에서 합제(여러 사람에게 함께 제사를 지냄)를 지냈는데, 영해의 외조부모도 함께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 실려있다. 다음 해 추석에는 "산소에 가기에 앞서 집에서 외조부모 제사를 지냈고, 선조 무덤에서 차례를 지낸 후에는 제물을 나누어 영해 장인에게도 절을 올렸다”라고도 기록돼 있다. 안동 예안의 계암 김령은 『계암일기』 1621년 8월 15일자에서 “먼저 외가의 추석 차례를 지낸 후, 집의 사당에서 추석 차례를 올렸다”고 적었다.  

추석 차례에 참석하는 친족 범위도 지금과 달랐다. 대구의 모당 손처눌은 『모당일기』1601년 8월 15일자에서 “오후에 조부와 부친의 묘에서 돌아왔다. 동생 희로가 두 사위를 데리고 와서 참석하였다”고 적었다.  

추석 준비도 형편에 맞게 가족이 함께했다. 김택룡은 "조카 김형을 시켜 수록동에 있는 조부 묘소를 벌초하고 음식을 올리도록 했다", "누이의 아들 정득의 무리가 수록동에서 벌초했다"와 같이 친가와 외가 후손이 번갈아 산소 벌초와 차례를 맡았다고 적었다.


한국국학진흥원 장판각 내부 모습. 중앙 포토

제례문화, 조선후기 보수화해 

음식 마련도 서로 도왔다. 김택룡은 “가동의 제사에 범금과 임인이 술을 가지고 와 올렸다”, “포태(泡太, 두부를 만드는 데 쓰는 콩)를 보냈다. 내일 누님이 가동의 선조 무덤에 가려하시기 때문이다” 등의 추석 준비 일상을 일기에 기록했다. 

한국국학진흥원 관계자는 “형식에 치우친 차례 문화는 명절의 본래 취지에 맞지 않는 것이다. 조상을 기리며 함께 모여 수확의 기쁨을 누린다는 추석의 의미를 되살려, 가족 모두를 포용하는 추석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보수화된 제례 문화=보수화된 제례 문화는 조선 후기 가례의 보급이 그 출발점이다. 당시 양반 가문에 사당이 건립되고, 제례 순서와 제사상 음식의 조리법·배치가 정례화하면서다. 여기에 신분제 동요와 재산상속 문제 등이 맞물려 더 보수화된 제례 문화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주요한 가족 갈등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안동=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http://www.joongang.co.kr/article/25099565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980 빠를수록 좋은 자녀 증여…목돈 없어도 '정기… 개씹 09.03 977 0 0
2979 구글, 악성 크롬 확장 프로그램 5종 앱 스… 깐쇼새우 09.03 1119 0 0
2978 무너지는 알프스, 소송 나선 주민들 미스터리 09.03 881 0 0
2977 롯데칠성음료, 제로 슈거 소주 ‘처음처럼 새… 087938515 09.03 691 0 0
2976 서울서 일하는 부모 10명 중 3명 "출산휴… 정의로운세상 09.03 1146 0 0
2975 "조희팔은 살아있다?" 잇단 목격담‥15년 … 아냐모르냐 09.04 953 0 0
2974 창문 X자 테이프, 힌남노엔 효과 미미…창틀… 배고픈심장 09.04 880 0 0
2973 "환영인파로 알고 5·18가족에 손 내밀더니… wlfkfak 09.04 910 0 0
2972 정서경 작가 “충무로에 작가 실종···남성 … 기레기 09.04 914 0 0
2971 1960~2020 정보의 단위 변화 개구기 09.04 1093 0 0
2970 밤에 '이것'줬더니 신입사원 퇴사율 뚝…뭐길… 도시정벌 09.05 1547 0 0
2969 흥행 1위 ‘탑건:매버릭’, 美디지털 판매 … 갑갑갑 09.05 748 0 0
2968 삼례 나라슈퍼 사건' 다룬 '소년들', 부산… piazet 09.05 1001 0 0
2967 KB국민·신한은행, 경기 양주와 경북 영주에… blueblood 09.05 734 0 0
2966 직원 절반이 발달장애... 그들의 일터 ‘동… SBS안본다 09.05 849 0 0
2965 네이버 배달 시장 진출. N배달 11월 론칭 던함 09.05 842 0 0
2964 "추석에 전 부치지 마세요..예의가 아니랍니… 안중근 09.05 1226 0 0
2963 '나혼자산다' 30분이 술방.. 미디어 음주… 애스턴마틴 09.06 1535 0 0
2962 "친가와 외가 후손이 번갈아 벌초"…허례허식… 선진국은좌파 09.05 1309 0 0
2961 韓, 50년 뒤 인구 절반이 고령…총인구도 … 몽구뉴스 09.05 785 0 0
2960 기상청 "힌남노, 오전 7시 10분께 울산… 소련 09.06 657 0 0
2959 클레오파트라는 정말 흑인이었나 이슈탐험가 09.06 1684 0 0
2958 집값 하락에 지방 원정투자 '뚝'…서울 거주… 자격루 09.06 1288 0 0
2957 국내 당뇨병 환자 600만 시대…"예상보다 … 나도좀살자좀 09.06 966 0 0
2956 올해 상반기 전세계 가뭄 피해액 18조원…예… 숄크로 09.07 657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