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꼭대기층부터 지었다, 어떻게?…‘하향식’ 16층 건물 곧 완공

  • 작성자: 협객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714
  • 2023.02.16
건물을 지을 땐 아래층에서부터 쌓아 올리는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이다. 그런데 이런 건축의 정석을 뒤집은 고층 건물이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저층에서부터 차곡차곡 높여가는 전통적 상향식 공법(버텀업)이 아니라 꼭대기층을 먼저 올린 뒤 아래층을 채워나가는 하향식 공법(톱다운)이다.



미국 언론에 따르면 현재 미시간주의 최대 도시 디트로이트에서 하향식 공법으로 지어지고 있는 높이 63미터의 16층 건물 ‘익스체인지 타워’가 완공을 앞두고 있다.

리프트빌드(Liftbuild)라는 이름의 이 공법은 지상에서 각 층을 제작해 들어올린 뒤 중심 기둥에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시공사인 바튼 맬로(Barton Malow)가 이렇게 생소한 공법을 채택한 가장 큰 이유는 이 건물 부지에선 기존 건축 공법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디트로이트 시내 중심가를 관통하는 고가의 모노레일 ‘피플 무버’가 바로 옆을 지나고 있어 타워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었다.(중략)


(16개 층 가운데 지상 1~2층을 제외한 14개층을 완성했다. 나머지 2개층은 기존 공법으로 짓는다. 리프트빌드 제공)

이런 방식의 건축 공법에 이점이 있을까?

시공사는 안전과 비용 절감, 공기 단축이라는 세 가지이 이점이 있다고 밝혔다. 우선 모든 층이 지상에서 제작돼 올라가기 때문에 고공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는 노동자나 공사 재료 등의 추락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회사는 또 기존 공법에 비해 작업자를 10~20% 적게 투입해도 되고 공사기간은 최대 50%까지 단축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중략)

그러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 공법은 일이 잘못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 예컨대 1987년 미국 코네티컷에서는 이 공법으로 짓던 건물이 공사 중 붕괴돼 28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 원인 가운데는 다른 것들도 있었지만, 미국에서는 이 공법을 적용한 건축이 한동안 중단됐다. 이번 건축은 35년 만의 재도전인 셈이다. 회사쪽은 3년여 걸쳐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13개의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혔다.


출처 한겨레 곽노필 기자
http://naver.me/xAW1tpVB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180 저작권 풀려' 살인마 된 곰돌이 푸, 흥행 … 1 0101 02.14 711 0 0
2179 석가모니 수제자 마하가섭은 한 마리 잃어버린… 베트남전쟁 02.14 697 0 0
2178 한평생 자식들 뒷바라지한 결과는 '텐트 속 … ZALMAN 02.14 668 0 0
2177 스트레스 폭식?… 밥 먹기 전 5분이 중요 임시정부 02.14 593 0 0
2176 서울 유치원, 밤 10시까지 돌봄 제공… 학… 베른하르트 02.14 546 0 0
2175 유명 카페 디저트류 포화지방 피자·라면보다 … 쓰레기자 02.14 483 0 0
2174 탑건·슬램덩크·타이타닉…극장가 ‘추억의 바다… 민족고대 02.14 482 0 0
2173 난자 냉동, 나에게 필요한 일일까? ABCDE 02.14 480 0 0
2172 슬램덩크·뉴진스·삼남매·미스터트롯2·일타스캔… 로우가 02.15 726 0 0
2171 연고대 합격한 1198명 등록 포기..명문대… 테드창 02.15 1174 0 0
2170 한번만 먹어도 2시간 동안 피임 효과… 남성… 조읏같네 02.15 1061 0 0
2169 식후 바로 양치질?... 치아 망치는 잘못… 무근본 02.15 828 0 0
2168 '더 퍼스트 슬램덩크' 1위 수성, 누적 2… 신짱구 02.15 478 0 0
2167 동서식품, ‘카누 바리스타’로 캡슐커피 시장… 김산수 02.15 556 0 0
2166 양배추 많이 먹으면 안 되는 사람 5 친일척결필수 02.15 1346 0 0
2165 AI 기술은 사회적 책임 예외 대상일까 밤을걷는선비 02.15 660 0 0
2164 임영웅만 한 스타가 다시 나올 수 없는 이유 현기증납니다 02.16 1213 0 0
2163 AI가 선정한 5대 문화강국 강건마 02.16 1149 1 0
2162 현대인 잘못된 식습관 취존 02.16 1213 1 0
2161 꼭대기층부터 지었다, 어떻게?…‘하향식’ 1… 협객 02.16 716 0 0
2160 도경수·지코 '수학 없는 수학여행', 3월 … 배고픈심장 02.16 525 0 0
2159 숲을 한 번이라도 찾으면 ‘삶의 질’ 높아져 잊을못 02.16 580 0 0
2158 근육량 빠르게 늘리는데 가성비 최고인 '이 … 협객 02.16 792 0 0
2157 '서진이네' 이서진→뷔, '출장 십오야' 뜬… 자격루 02.16 510 0 0
2156 40kg→30kg 중량을 줄이고 알게 된 것 Z4가이 02.16 757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