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한국인에게 흔한 위염… 잘못된 ‘식습관’ 3가지

  • 작성자: 국밥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703
  • 2023.02.20

짜고 매운 음식, 소금에 절인 채소와 생선, 불에 직접 태워 익힌 고기 등을 즐겨먹는 식습관은 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짜고 매운 음식, 소금에 절인 채소와 생선, 불에 직접 태워 익힌 고기 등을 즐겨먹는 식습관은 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속쓰리고 더부룩한 증상을 일으키는 위염은 건강검진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질환이다. 위염은 우리나라 국민 5명 중 1명이 겪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급성 위염이라면 갑작스러운 통증이 명치에 발생하거나 구역, 구토를 겪을 수 있지만, 만성 위염이라면 소화불량이나 복부팽만감, 속쓰림 등의 사소한 증상만 느낄 수 있다.

우리나라는 위암 발생률 및 사망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센터에 따르면, 위암이 많은 지역에서는 짜고 매운 음식, 소금에 절인 채소와 생선, 불에 직접 태워 익힌 고기, 훈제 생선, 질산염성분이 많은 식수를 즐겨 먹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국인에게 흔한 위염을 일으키는 잘못된 식습관을 알아본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 야식으로 맵고 짠 음식 먹기

위염이 있거나 위장장애가 있다면 술, 담배, 카페인과 함께 맵고 짠 음식을 피해야 한다. 나트륨 과다 섭취는 위점막을 자극하고 만성 위염이 발생하게 된다. 위염이 심각하면 위암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국밥류는 나트륨 섭취와도 관련 있다. 국과 밥을 따로 먹을 때보다 국물을 섭취하는 양도 늘기 때문에 나트륨 섭취량도 늘어난다. 이미 조리된 국밥에는 나트륨이 많이 들어가며, 취향에 따라 먹기 전 소금을 더 추가하기도 한다. 젓갈류, 김치 같은 염장 음식, 국과 찌개 등은 위 점막을 자극해 점막이 얇아지는 위축성 위염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밤에는 위산 분비가 줄어 소화가 잘 되지 못하므로 맵고 짠 음식을 밤늦게 먹는 습관은 피해야 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 국 종류에 밥 말아먹기

날씨가 추운 겨울에는 뜨끈한 국밥이 인기 메뉴이다. 설렁탕, 순대국밥, 돼지국밥 등 국밥 종류도 많다. 외식 메뉴에도 국밥이 많지만, 가정에서도 사골국이나 김치찌개를 끓여 뜨끈한 국물에 밥을 말아먹는 일이 흔하다. 빠르게 식사를 끝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위장에는 좋지 않다.

이유는 물에 밥을 말아먹으면 입안에서 제대로 씹지 않은 채 위로 내려가게 되고 밥 먹는 속도가 빨라 음식물이 입안에서 제대로 분해되지 않기 때문. 식도를 거쳐 내려간 음식물은 위에서 위산을 분비해 소화가 된다. 하지만 물에 밥을 말아먹으면 위산이 물에 섞여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소장으로 내려간다. 위는 적절한 산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소화에 어려움이 생긴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 탄산음료 자주 마시기

속이 더부룩하고 답답할 때는 탄산음료가 당긴다. 하지만 탄산음료를 마시는 것도 위장 건강에 좋지 않다. 탄산가스는 역류성식도염 등 소화기계통 증상이 있는 사람에게 트림과 더부룩함을 야기할 수 있다. 탄산음료를 마시고 트림을 하면 속이 뻥 뚫리는 것 같지만, 일시적인 현상이다. 탄산음료는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괄약근 기능을 약화시키고 결국 위산이 역류할 수 있다. 위산 분비를 늘리거나 위벽을 자극해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http://v.daum.net/v/20230220063009968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005 매우 만족스러운 크랜베리 수확 과정 jpg audentia 02.08 700 0 0
2004 내일 '30도 안팎' 더위...맑고 대기 … context 05.31 700 0 0
2003 단백질 섭취는 고기로만?…식물성 고단백 식품… piazet 08.09 700 0 0
2002 강경준 母 "정안, 마음으로 품은 손자…혈육… 레저보이 11.06 700 0 0
2001 평창올림픽 '한반도기 입장' 40.5%…각각… 강건마 01.18 699 1 0
2000 "탁 치니 억하고 쓰러져" 발언한 강민창 前… fioriranno 07.09 699 0 0
1999 무단횡단 사고시 보행자의 과실.jpg KBO리그 07.28 699 1 0
1998 독감 무료접종 내일 본격 시작…아동·노인 1… 의사양반 10.01 699 0 0
1997 [EBS TV] CI 보험, 보장금 1도 … Homework 11.28 699 1 0
1996 '음주운전 치사' 최고 무기징역…'윤창호법'… 강건마 11.29 699 0 0
1995 치질, 연령이 높을수록 잘 걸린다? 주결경국지색 02.16 699 1 0
1994 [오늘날씨]'낮 최고 30도' 서울·경기 한… GirlsDay 07.14 699 1 0
1993 서울 1호선 지하철 여행. 꼬출든낭자 08.13 699 0 0
1992 구글, 양자컴퓨터 개발에 성공하다. 아냐모르냐 12.02 699 1 0
1991 BTS 국제 학술대회, 멈춤과 그 이후 새로… Crocodile 07.14 699 0 0
1990 태풍 난마돌 세력 키우면서 북상…다음 주 월… SBS안본다 09.17 699 0 0
1989 “연진이 앵커된 줄” 임지연 ‘뉴스룸’ 전… 베른하르트 03.24 699 0 0
1988 에어부산 항공사 안전평가 최우수...대한항공… 계란후라이 04.03 699 0 0
1987 우기지 않는 '지적 겸손'의 중요성 GTX1070 05.13 699 0 0
1986 단독] 글로벌 1위 '킹더랜드' 이준호, '… marketer 07.06 699 0 0
1985 가족이 사라진다. 완전히 달라질 가족의 미래 DNANT 09.11 699 0 0
1984 전여빈 "'빈센조' 팀과 송중기 생일+득남 … 책을봐라 09.22 699 0 0
1983 직장 내 '응원과 격려' 문화, 직원 심장질… kKkkkKk 11.10 699 0 0
1982 한소희 “비염수술로 코 높아져”…정말 가능할… kKkkkKk 12.02 699 0 0
1981 [첫 금메달][평창 휴먼스토리]'7번 수술과… 덴마크 02.11 698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