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걷기 운동 효과 ‘하루 2300보’부터…7천보 이상이면 효과 ‘쑥’

  • 작성자: 깐쇼새우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676
  • 2023.08.19
1.6~1.8km 거리…1000보마다 사망 위험 15% 감소
활동량이 부족한 현대인에게 가장 간편한 운동법 가운데 하나가 걷기다. Sincerely Media/Unsplash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현대인의 좌식 위주 생활에 따른 신체활동 부족은 세계 4번째 사망 원인으로 꼽힌다. 보건기구는 신체활동 부족은 한 해 약 320만명의 사망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산한다. 연구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신체 활동이 부족한 상태로 지내고 있다. 신체 활동 부족 인구의 비율은 남성(32%)보다 여성(23%), 저소득 국가(16%)보다 고소득 국가(37%)가 높다.

생활 속에서 부족한 신체 활동을 보완해주는 아주 간편한 방법 가운데 하나가 걷기 운동이다.

얼마쯤 걸어야 가시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까? 하루 1만보가 걷기 운동의 상징처럼 인구에 회자되고 있지만, 실제 걷기의 건강 효과는 하루 2300보부터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300보는 보폭 70~80cm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약 1.6~1.8km에 해당한다. 400m 트랙을 돌 경우 4바퀴가 좀 넘는다. 시간으로 따지면 보통 걸음으로 25분 안팎, 빠른 걸음으로 15~20분 정도 걷는 거리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가 중심이 된 국제공동연구진은 9일 하루 2300보부터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감소하기 시작해 걸음 수가 늘어남에 따라 건강 효과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유럽 예방 심장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에 발표했다.

하루 7천보 이상이면 건강 효과 ‘쑥’

이번 연구는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노르웨이, 스페인 6개국에서 수행한 17개 연구에 참가한 22만7천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의 평균 나이는 64살, 데이터 추적 기간은 평균 7.1년이었다. 연구진이 확인한 건강 효과는 하루 2만보까지였다. 그 이상 걸음의 효과에 대해선 데이터 부족으로 확인하지 못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걸음 수가 늘어날수록 건강 효과도 커졌다. 하루 2337보 이상이면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이, 하루 4천보 이상이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은 하루 500보 늘어날 때마다 평균 7%씩 감소했으며,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하루 1000보 늘어날 때마다 평균 15%씩 감소했다.

연구진은 하루 7천보를 분기점으로 사망 위험 감소 폭이 더욱 커졌다고 밝혔다. 또 60살 미만이 그 이상의 고령층보다 더 컸다. 하루 6000~1만보를 걷는 60살 이상 성인은 조기 사망 위험이 42% 감소한 반면, 하루 7000~1만3000보를 걷는 60살 미만 성인은 사망 위험 감소폭이 49%였다.

연구를 이끈 마치예 바나흐 교수는 “많이 걸을수록 건강에 더 좋다는 사실을 확인해주는 연구 결과”라며 “건강 효과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적은 걸음 수부터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연구 결과는 성별, 연령, 거주 지역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바나흐 교수는 “점점 더 좋은 약물이 나오고 있지만 식단과 운동을 포함한 생활습관의 변화가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고 수명을 연장하는 데 약물만큼, 아니면 그보다 더 효과가 좋을 수 있다”고 말했다.

*논문 정보

http://doi.org/10.1093/eurjpc/zwad229

The association between daily step count and all-caus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 meta-analysis.

http://v.daum.net/v/20230819091510639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657 온라인전입신고 간편해졌네요 Homework 11.28 671 1 0
1656 각국 경기부양책 금액 비교 한장의카드 03.19 671 0 0
1655 전세계 강타한 때이른 '폭염'...3월 남북… M4A1 06.22 671 0 0
1654 티빙, 지난달 이용자 500만명 넘어…왓챠·… 불반도 02.06 671 0 0
1653 "나도 요즘 세대로 태어날걸" 영화관에 선 … plzzz 05.21 671 0 0
1652 “평소라면 그림의 떡인데”…한 군인이 전한 … 민족고대 07.30 671 0 0
1651 [추석 ‘안전사고’ 주의] 송편이 목에 걸려… 피아제트Z 09.29 670 1 0
1650 중국신화속 투괴 [도올]을 알아BOA요 월화수목금금금 10.04 670 0 0
1649 엘지유플러스 VIP 영화 예매 반으로 줄었네… gameid 01.10 670 0 0
1648 내년 공휴일 66일…올해보다 3일 줄어든다 베른하르트 03.16 670 2 0
1647 자동차 번호판, 내년 9월부터 앞자리 숫자 … 추천합니다 07.06 670 1 0
1646 김포 한강하구에 ‘평화의 배’ Chivalry 04.01 670 0 0
1645 같이 먹으면 좋은 음식 vs 안 좋은 음식 … 스포츠맨 09.28 670 1 0
1644 기금고갈론이 ‘공포마케팅’인 세 가지 이유 암행어사 01.27 670 0 0
1643 '나솔' 10기 영호, 경솔 발언 사과 "이… gami 02.01 670 0 0
1642 한국인 최애 초코 과자 6 내로남불 03.12 670 1 0
1641 카드고릴라, ‘애플페이 추가 원하는 카드사는… 안중근 04.25 670 0 0
1640 “무거운 캐리어 놓고 가세요” 지하철↔공항 … marketer 05.22 670 0 0
1639 '나솔사계' 13기 현숙 "다정=9기 영식,… 테드창 09.16 670 0 0
1638 영화 '나 홀로 집에' 케빈 가족, 알고보니… 쓰레기자 12.24 670 0 0
1637 몽골 전통춤 난기류 01.21 669 0 0
1636 (추석맞이) 가족 호칭 완벽 정리 모닥불소년 08.29 669 1 0
1635 “한국 식료품 물가 하반기 8.4% 오를것” plzzz 06.22 669 0 0
1634 하이트진로, '이슬톡톡 폴라포' 한정 출시 wlfkfak 02.27 669 0 0
1633 히밥 "임직원 월급 세전 1200만원, PP… 무서븐세상 09.17 669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