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기후 변화 위기 진입…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 작성자: 울지않는새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953
  • 2022.06.09
http://m.science.ytn.co.kr/view.php?s_mcd=0082&s_hcd=0035&key=202206081657214398

유명 과학 저널인 네이처에 따르면, 온실 가스 배출량은 연간 약 160억톤 전체 배출량의 30%로 막대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인류가 먹고 살기 위해 농작물을 재배하고, 식재료를 유통하고, 조리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과정으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농지를 마련하기 위한 숲의 파괴부터, 비료의 생산, 논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와 함께, 가축에서 나오는 분뇨와 트림, 방귀의 메탄도 그 양이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예를 들어, 지구 전체의 사람들이 현재와 같은 식습관을 고수한다면, 2020년부터 2100년까지 식습관으로부터 발생한 누적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로 환원하였을 때, 그 양은 무려, 1조 3560억 톤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는 연평균으로 계산해보면 해마다 170억 톤으로 추산해볼 수 있으며, 이 분석에 따르면, 앞선 모든 기업과 국가적 규제의 노력이 완벽히 달성된다 하더라도 지구 전체의 평균 온도가 1.5도는 고사하고, 2도 정도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을 통해, 음식의 영역에서도, 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실은 이와 완벽히 역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이언스 저널의 연구 결과를 발췌해 보면, 현재 지구촌에서 소비되는 육류량은 빠른 추이로 증가하고 있는데, 특별히 아시아, 그것도 중국을 중심으로, 육류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이 육류 소비 딜레마로부터 한 걸음 더 가까이, 기후변화를 위한 노력을 이행할 수 있을까요?

이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기적의 기술이, 바로 ‘대체육’과 ‘배양육’입니다.

기본적으로 이들은 식물의 단백질과, 미생물로부터 합성한 ‘햄’ 단백질을 이용하여 실제 고기의 식감과 맛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유사하게 ‘만든 고기’를 말합니다.

2019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소비자가전쇼에서 ‘임파서블 버거’라는 이름으로 등장한 이 ‘대체육’을 사용한 버거는 그야말로 커다란 이슈들 중 하나였죠.

‘대체육’은 기본적으로 식물성 단백질에 첨가물을 섞어, 고기와 같은 식감과 향이 나도록 만드는, 일명 ‘가짜 고기’의 형태를 말하는데요, 최근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과, 물질 합성 매커니즘의 혁명적 진보 덕분에 미생물의 합성 회로를 디자인해, 원하는 물질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인 시스템 생명공학이라는 분야의 지식을 응용하여, 원하는 물질을 만들 수 있게 된 기술 덕분에, 이러한 대체육 생산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질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닙니다. 앞서 소개한 ‘배양육’은 가히 문화충격을 넘어선 과학충격이라는 용어를 사용해도 될 만한 녀석인데요, 가축의 근육 줄기세포를 배양해 세포 덩어리를 만든 뒤, 이를 키워 실제 근육 조직을 생산하는 ‘배양육’은 마치 육류를 식물처럼 ‘키워’ 먹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탄소배출을 최소화한 형태로 육류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놀라운 방법을 통해, 육류소비로부터 발생하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기후변화’에 관한 현실적이면서도 실제적인 노력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디젤 차 대신 전기차를 이용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전자제품을 이용하며, 짧은 높이는 계단을 이용하고, 가까운 거리는 걸어 다니려고 노력하며, 사용하지 않는 코드는 OFF로 해 놓는 것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에는 아주 티끌같이 작은 변화이지만, 우리 사회를 이루는 모든 구성원들의 행동이 모였을 때, 큰 힘이 될 것입니다.

또한 바로 앞서 소개드린 방식으로 생산되는 대체육, 배양육을 적극적으로 소비함을 통해, 기존보다는 다소 비싸더라도 육류가 가져다 주는 즐거움은 포기하지 않으면서 ‘기후변화’를 위한 한 걸음을 내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6530 최근 15년 동안 미국에서 사람을 가장 많이… 시사in 06.10 1530 0 0
26529 미혼남녀 “월급의 60% 저축 …월 평균 저… 후시딘 06.10 1435 0 0
26528 매운맛 '스리라차 소스', 기후위기로 생산 … 휴렛팩커드 06.10 904 0 0
26527 '브로커' 일일천하 1위..관객 평도 엇갈렸… 선진국은좌파 06.10 1306 0 0
26526 일본 초일류급 스타의 위엄.jpg ㅋㅋ 06.10 1901 0 0
26525 내일 30도 안팎 더위..자외선 '매우 높… 하건 06.09 914 0 0
26524 남극에 내린 눈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됐다 잘모르겠는데요 06.09 1136 0 0
26523 먹방 유튜버들은 왜 살이 안 찔까? 아무도 … 매국누리당 06.09 2485 0 0
26522 나와 반려동물 건강 위한 친환경 생활 newskorea 06.09 1081 0 0
26521 기후 변화 위기 진입…우리는 어떻게 해야 … 울지않는새 06.09 956 0 0
26520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 2주년기념 안늉해으 06.08 1751 0 0
26519 황혼의 아픔… 남성 이혼상담 절반이 60대 … 레저보이 06.07 1764 0 0
26518 "2000원도 싸다"…주유소 유류 가격, L… 시사in 06.07 1695 0 0
26517 한국에서 탄생한 9가지 음식 Blessed 06.07 2321 1 0
26516 한국 여자는 이민 뒤 행복도 오르는데···남… 펜로스 06.07 2100 0 0
26515 메가 커피 7일부터 200원씩 가격 올렸다 김무식 06.07 1128 0 0
26514 성인 10명 중 1명 '콩팥 이상'..심장병… 잊을못 06.07 1202 0 0
26513 전국 곳곳 비 내리고 천둥·번개…동해안 '… Crocodile 06.07 970 0 0
26512 서울청년은 전세보증금 떼일 걱정 ZERO…'… Mobile 06.06 1035 0 0
26511 지구 온난화 5년 안에 ‘레드 라인’ 넘는다… 울지않는새 06.06 809 0 0
26510 국토교통부 피셜 GTX-A노선 요금...jp… Petrichor 06.06 1128 0 0
26509 부자들이 유독 집 현관에 화분 놓는 이유…바… 계란후라이 06.06 1996 0 0
26508 "캔커피, 뚜껑 따고 2분 기다려라" 왜? … 자격루 06.05 2226 0 0
26507 코스트코 새벽 배송 시작 쿠르릉 06.05 1563 0 0
26506 매일유업, '우유속에 락토프리' 컬래버 never 06.05 1235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