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나는 한국의 ○○○○ 한 개입니다 [기사]

  • 작성자: 모닥불소년
  • 비추천 0
  • 추천 1
  • 조회 1919
  • 2018.01.19

생명은 책임과 불가분의 관계입니다.

요는.. 책임 못질 거라면.. 시작도 안하는 게 맞습니다.

참 사람 마음이라는 게 이랬다 저랬다 하지만요,,;;

애완 동물이나 아이나 한 생명이기는 마찬가지니까요!

대한민국 펫 리포트 (5)·끝 - 한국에서 개로 산다는 것

[ 김보라/구은서 기자 ] 한국 사회에서 반려동물과 관련된 숫자 세 개를 뽑아봤다. 1000만, 6조원, 10만 마리. 순서대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 3년 안에 이를 관련 산업의 규모, 지난해 발생한 유기동물 수다. 유행처럼 번지는 입양과 관련 산업의 빠른 성장, 이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화와 제도가 이 숫자에 나타나 있다.

반려동물과의 공존 및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해 어떤 문화가 필요할까. 최영민 서울시수의사회 회장, 동물보호단체 케어의 박소연 대표 등 전문가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정리했다. ‘개의 관점으로 본 대한민국의 반려동물 문화’라고 부르면 될 듯하다.


아침에 나가고 밤에 돌아오는 주인님
하루 종일 아파트서 홀로 지내 쓸쓸


서울 옥수동 S아파트에 사는 10살 웰시코기 ‘구름이’

나의 주인은 30대 회사원 부부입니다. ‘엄마’와 ‘아빠’는 결혼을 하며 나를 입양했습니다. 앙증맞게 짧은 다리, 큰 눈과 귀, 길게 튀어나온 입이 귀엽다며 서울 가로수길의 한 펫숍 유리장에서 나를 꺼내줬죠. 신바람이 났습니다. 좁은 장을 벗어나 햇살이 잘 드는 아파트로 이사를 왔으니까요. 멋진 옷과 장난감, 맛있는 사료와 푹신한 침대도 있었습니다. 기쁨은 길지 않았습니다. 매일 아침 간식 하나를 던져주고 출근하는 엄마 아빠의 뒷모습을 보면 쓸쓸했습니다. 하루 종일 문 앞에 누운 채 귀를 쫑긋 세워봅니다. 가끔은 짖어도 보고요. 아무 답이 없습니다. 캄캄한 저녁이 되면 엄마의 발걸음 소리가 들립니다. 엉덩이를 반갑게 흔들며 산책을 가자고 졸라봅니다. 엄마는 피곤한지 금방 쓰러져 잠이 듭니다. 옷, 간식보다 주인과 함께 있는 시간이 가장 소중한데…. 이제 나에게 그리 긴 시간이 남지 않았다는 것을 주인은 알까요.


강아지 땐 배변 실수로 혼나다 버려져
두 번째 주인은 내가 아프자 보호소로


유기견 보호소에 사는 7살 포메라니안 ‘뽀뽀’

주인이 두 명 있었습니다. 눈도 아직 못 떴을 때 안아준 첫 번째 주인과는 서너 해를 함께 살았습니다. 나는 배변 실수를 자주 했습니다. 사람들을 보면 나와 주인을 해칠까 봐 짖고 달려들었죠.

주인은 내가 하는 행동마다 고함을 지르곤 했지만 왜 야단을 치는지 몰랐습니다. 배운 적이 없으니까요. 잘못을 알기에 주인의 언어는 너무 어려웠습니다. 주인은 어느 날 차를 타고 내가 찾을 수 없는 먼 곳까지 달리더니 길가에 나를 내려두고 떠났습니다.

보호소에서 기다리다 두 번째 주인을 만났습니다. 유기견이라 불쌍하다며 데려갔습니다. 얼마 전 다리에 염증도 생기고 눈병에도 걸렸습니다. 털도 점점 더 많이 빠졌지요. 두 번째 주인은 나를 보호소로 데리고 왔습니다. 더 좋은 주인을 만나길 바란다는 말을 남긴 채.


뜬장에 갇혀 땅 한번 밟지 못해
끌려나가면 다시 돌아올 수 없대요


개농장에서 태어나 이름도 없는 ‘…’

어두컴컴한 작은 방에서 태어나 철창 안 좁은 우리 안에서 살고 있습니다. 형제도 있었던 것 같은데 너무 일찍 헤어져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지금 우리 안에는 비슷한 친구들이 있습니다. 땅을 밟고 살아야 하지만 흙냄새 한번 맡아보지 못한 채 공중에 떠 있는 이 ‘뜬장’에서 살았습니다. 좁은 곳에서 웅크린 채 눈과 비, 추위와 더위, 매서운 바람을 다 맞았지요. 뜬장 안의 친구들과 추울 땐 포개 눕고 아플 땐 서로 핥아가며 버팁니다. 더러운 물과 누군가가 버린 오물을 굶주림 때문에 겨우 먹지요. 밖의 삶이 어떤지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하나는 알고 있습니다. 언젠가 이 뜬장의 문이 열리면 함께 있던 친구가 끌려나가 영원히 돌아오지 못한다는 것을. 언젠가는 그게 내가 될 수도 있다는 걸요. 세계에서 유일하게 식용견 사육농장이 있는 나라. 그 나라에는 1만7076곳의 식용견 사육농장이 있다고 합니다.


병원서 태어나 햇볕 본 적 없어요
매일 혈관주사·약물…이게 내 운명


실험견으로 태어난 4살 비글 ‘7358339’

차가운 쇳덩어리와 소독약 냄새가 진동하는 병원이 내가 아는 세상의 전부입니다. 비글은 사람을 잘 따르고 성격이 온순하지요. 그것이 내가 실험견이 된 이유라고 합니다. 엄마도 실험견이었고요. 세계 실험견의 94%가 비글이라고 하네요.

사람들이 먹는 약과 각종 주사약, 농약과 화학제품까지 모두 나와 나의 친구들 몸을 거쳐 갔습니다. 눈에 매일 농약을 집어넣어야 했던 날도, 혈관 주사를 지겹도록 맞아야 했던 날도 있습니다. 주삿바늘과 엑스레이는 익숙해져 무섭지도 않지요. 5년만 버티면 실험견으로서의 삶은 끝난다고 합니다. 법률에 실험이 끝난 실험견은 안락사하도록 돼 있다네요. 더러 구조되는 친구들도 있습니다. 사실 안락사보다 무서운 건 따로 있습니다. 바깥세상입니다. 케이지 밖을 나가는 일, 햇빛을 보는 일, 땅을 밟고 서는 일, 사람들과 어울리는 일 이 모든 게 두렵습니다.

김보라/구은서 기자 destinybr @ hankyung . com
일러스트=추덕영 기자 choo @ hankyung . com

추천 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4630 [앱스토어] 최근 부동의 1위 리니지M을 이… 덴마크 01.18 1561 1 0
24629 추억의 히로인 2명.jpg 월화수목금금금 01.19 2146 0 0
24628 영국인이 생각하는 대한민국의 이미지는? 캡틴 01.19 2139 2 0
24627 실명제로 암호화폐 거래 터주고 돈세탁은 철저… sSportSs 01.19 1286 0 0
24626 나는 한국의 ○○○○ 한 개입니다 [기사] 모닥불소년 01.19 1922 1 0
24625 트럼프가 대환영한 애플 ‘귀국세’ 40조 납… 15990011 01.19 1491 1 0
24624 자본주의 사회의 피라미드 의사양반 01.19 1467 0 0
24623 20세기에 만들어진 특이한 탈것들 베트남전쟁 01.19 2221 1 0
24622 일본의 성문화 호우 01.19 2817 2 0
24621 스테이크 굽기별 느낌 HotTaco 01.19 1436 1 0
24620 [안드로이드] 좋은글 명언 어플 모닥불소년 01.19 930 0 0
24619 2000원으로 층간소음 해결하기 바르셀로나 01.19 1646 2 0
24618 돼지고기 부위별 정보 러키 01.19 1176 2 0
24617 [이광식의 천문학+] 우주의 나이는 어떻게 … adorable 01.19 907 2 0
24616 독하게 뺀 살…오히려 독 될라 [기사] 얼굴이치명타 01.19 1346 0 0
24615 사무라이들이 칼을 여러개씩 들고 다닌 이유 오오오오오 01.19 2163 0 0
24614 금감원에 가상화폐 대책발표전 투자 차익 낸 … 펜로스 01.19 1094 1 0
24613 허리에 무리없는 복근 운동 바르셀로나 01.19 1307 0 0
24612 쉽게 보는 유승준 걸더쿠 01.19 1551 1 0
24611 썰전 - 가상화폐 논란 도장깨기 01.20 820 1 0
24610 최저시급 인상 논쟁을 보면 생각나는 짤. 도장깨기 01.20 916 1 0
24609 [독감 톡톡]“근육통 심하다고요? 약 먹고 … 올림픽대로 01.20 762 1 0
24608 통신방송 M&A 빅뱅 누가 먼저 깃발 꽂을까… 쭈구미 01.20 645 0 0
24607 신빡한 드릴 용도 모닥불소년 01.20 963 2 0
24606 “전쟁 났나요?”… 미세먼지 앞에서 외국인은… shurimp 01.20 910 1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