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이광식의 천문학+] 우주의 나이는 어떻게 알까? - 우주 나이 138억년 찾기 [기사]

  • 작성자: adorable
  • 비추천 0
  • 추천 2
  • 조회 899
  • 2018.01.19
정밀한 우주배경복사 관측으로 우주의 나이가 138억 년이란 걸 알려준 플랑크 위성( ESA ) 

대상이 무엇이든 사람은 그 나이를 알고 싶어한다. 골동품이라면 얼마나 오래된 건가 묻고, 또래를 만나면 ‘민증 까보기’부터 한다. 지구와 은하, 우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들의 나이를 알아내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과학자들의 숱한 땀과 노력을 요구했다.

지구의 나이는 약 46억 년으로 밝혀졌지만, 지질학자들이 1세기에 가까운 노력을 기울인 끝에 겨우 알아낸 사실이다. 지구의 민증을 까는 데는 방사성 연대측정법을 이용했다.

방사성 원소의 붕괴는 오로지 시간에만 관련될 뿐, 주위의 압력이나 온도 등에는 전혀 영향받지 않고 규칙적으로 붕괴한다. 이들 원소가 붕괴되어 반으로 줄어드는 시간을 반감기라 한다. 탄소-14의 반감기는 6,000년이고, 우라늄 235와 238의 반감기는 각각 7억 400만 년, 44억 7천만 년이다. 이 방법을 이용해 지구의 암석에 들어 있는 방사성 원소의 반감기를 정밀 측정해서 얻은 값이 약 46억 년이다.

우주의 나이는 분명 지구 나이보다는 많을 게 뻔하다. 우주의 나이를 어림하는 데 최초로 사용된 것은 늙은 별들의 집단인 구상성단이다. 구상성단 속에서 가장 늙은 별을 조사해본 결과 120억 년에 근접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은하계에 있는 구상성단들의 평균 나이가 이 정도였기 때문에 우주의 나이가 적어도 120억 년보다는 많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에 비해 46억 살 가량인 우리 태양계는 우주에서 한참 어린 신참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천문학자들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다른 도구를 찾아나섰다. 은하계를 샅샅이 뒤진 끝에 찾아낸 것은 죽은 별의 시체라 할 수 있는 백색왜성이었다. 크기는 지구만 하지만 질량은 태양 정도여서, 각설탕만 한 크기가 1톤에 이를 만큼 놀라운 밀도를 가진 별이다.

백색왜성은 중간 이하의 질량을 지닌 항성이 핵융합을 마치고 적색거성이 된 다음, 외부 대기는 우주공간으로 방출되며 행성상 성운을 만들고, 별의 중심핵만 남은 천체다. 말하자면, 에너지를 생성하는 별로서는 폐업하고 차츰 식어가는 일만 남은 셈인데, 가장 차가운 백색왜성의 표면온도는 수천 도 가량 된다.

​이 별의 냉각 시간을 계산해본 결과, 이에 이르는 시간은 110~120억 년으로 추산되었다. 이 역시 구상성단의 나이와 비슷하게 맞아떨어지는 것으로 보아 120억 년을 우주 나이의 기준선으로 설정하게 되었다.

우주 나이에 관한 결정적인 물증은 르메트르의 빅뱅과 허블의 우주팽창에서 나왔다. 우주가 한 원시원자에서 출발해서 오늘까지 팽창을 계속하고 있다면, 이 시간을 영화 필름 돌리듯 거꾸로 돌리면 우주 탄생의 시점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 아닌가! 너무나 간단한 방법이었다. 곧, 우주의 팽창속도를 측정하고, 이 값으로부터 거꾸로 우주의 크기가 0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우주의 나이를 추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우주의 팽창속도는 허블 상수가 말해준다. 허블 상수는 지구로부터 100만 파섹(326만 광년) 거리당 후퇴속도를 나타낸다. 이 허블 상수를 이용해 우주가 지금의 크기로 팽창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데, 허블 상수의 역수를 취하면 바로 그게 허블 시간( Hubble time )이라고 부르는 우주의 나이다. 허블 상수가 50일 때는 우주 나이가 약 200억 살, 100일 때는 약 100억 살이 나온다.

그런데 문제는 허블 상수를 정하는 게 그리 간단치가 않다는 점이다. 허블이 처음 구한 허블 상수는 500이었다. 이 값을 대입하면 우주 나이가 지구 나이보다 적은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차츰 정밀한 관측으로 허블 상수가 조정되면서 137억 년이란 우주 나이를 얻게 되었다.

2013년 3월, 유럽우주국의 플랑크 위성이 정밀한 우주배경복사 관측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로 구한 허블 상수는 약 67.80 km /s/ Mpc 이었다. 이 값으로 다시 계산하면 우주의 나이는 137.98±0.37억 년으로, 이는 오차가 0.268%에 불과한 정확도를 가진 값이다. 그러니 우리는 간단하게 우주의 나이를 138억 년으로 기억하자.

138억 년이란 얼마나 오랜 시간일까? 우리가 100살을 산다고 칠 때, 이를 초 단위로 나타내면 약 30억 초다. 그러니 138억 년이란 시간은 우리 인간에겐 거의 영겁이라 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이광식 칼럼니스트 joand 999@ naver . com  

추천 2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4630 [앱스토어] 최근 부동의 1위 리니지M을 이… 덴마크 01.18 1558 1 0
24629 추억의 히로인 2명.jpg 월화수목금금금 01.19 2146 0 0
24628 영국인이 생각하는 대한민국의 이미지는? 캡틴 01.19 2138 2 0
24627 실명제로 암호화폐 거래 터주고 돈세탁은 철저… sSportSs 01.19 1286 0 0
24626 나는 한국의 ○○○○ 한 개입니다 [기사] 모닥불소년 01.19 1919 1 0
24625 트럼프가 대환영한 애플 ‘귀국세’ 40조 납… 15990011 01.19 1487 1 0
24624 자본주의 사회의 피라미드 의사양반 01.19 1467 0 0
24623 20세기에 만들어진 특이한 탈것들 베트남전쟁 01.19 2221 1 0
24622 일본의 성문화 호우 01.19 2817 2 0
24621 스테이크 굽기별 느낌 HotTaco 01.19 1436 1 0
24620 [안드로이드] 좋은글 명언 어플 모닥불소년 01.19 930 0 0
24619 2000원으로 층간소음 해결하기 바르셀로나 01.19 1640 2 0
24618 돼지고기 부위별 정보 러키 01.19 1173 2 0
24617 [이광식의 천문학+] 우주의 나이는 어떻게 … adorable 01.19 902 2 0
24616 독하게 뺀 살…오히려 독 될라 [기사] 얼굴이치명타 01.19 1342 0 0
24615 사무라이들이 칼을 여러개씩 들고 다닌 이유 오오오오오 01.19 2159 0 0
24614 금감원에 가상화폐 대책발표전 투자 차익 낸 … 펜로스 01.19 1093 1 0
24613 허리에 무리없는 복근 운동 바르셀로나 01.19 1306 0 0
24612 쉽게 보는 유승준 걸더쿠 01.19 1545 1 0
24611 썰전 - 가상화폐 논란 도장깨기 01.20 818 1 0
24610 최저시급 인상 논쟁을 보면 생각나는 짤. 도장깨기 01.20 915 1 0
24609 [독감 톡톡]“근육통 심하다고요? 약 먹고 … 올림픽대로 01.20 753 1 0
24608 통신방송 M&A 빅뱅 누가 먼저 깃발 꽂을까… 쭈구미 01.20 639 0 0
24607 신빡한 드릴 용도 모닥불소년 01.20 961 2 0
24606 “전쟁 났나요?”… 미세먼지 앞에서 외국인은… shurimp 01.20 902 1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