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 작성자: 뻐금뻐끔
  • 비추천 0
  • 추천 5
  • 조회 5792
  • 2017.02.08

1.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상어는 아쿠아리움의 필수요소 중 하나다.

샌드타이거상어, 흑기흉상어, 레몬상어 등 다양한 상어들이

전 세계의 아쿠아리움에서 전시되고 있다.

 

하지만 백상아리는 어느 곳에서도 사육되지 않는다.



2.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사람들이 백상아리를 싫어하기 때문은 아니다.

백상아리는 아주 유명한 동물 중 하나로

오래 전부터 수많은 유명 수족관들이 모두 탐내는 전시품(?)이었다.

 

하지만 포획된 상태에서는 금새 죽어버리고 말아

가장 사육하기 어려운 동물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3.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3(1).gif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3(2).gif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이동경로 파악을 위한 전파 발신기 부착 작업)

 

이같은 가혹한 상황도 견뎌내기 때문에

성질 급한 다른 어류들처럼 약하지는 않은 듯 하다.

 

가장 큰 이유는 인간이 제공하는 공간이 지나치게 협소하기 때문이다.



4.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태평양의 이동경로)

 

백상아리는 매일 100km 가량을 이동하며 쉬지 않고 움직이기 때문에

좁은 수조에 갇히는 자체로도 이들에게는 굉장한 스트레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자유로운 바다생물을 길들이려는 시도는

지금까지 끊임 없이 이어져 왔다.

 

5.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최초의 사육 시도는 1955년에 캘리포니아의 Marineland of the Pacific에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사육 기간은 단 하루에 불과하다.

너무 짧아서 사실상 사육을 했다고 하기도 좀 그렇다

 

6.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두 번째 시도는 6년 후

호놀룰루의 waikiki aquarium에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여기서도 겨우 이틀 동안 데리고 있었을 뿐이다.

 

그 이후로 앞서 나왔던 Marineland of the Pacific를 비롯해서

샌디에이고의 씨월드, 시드니의 오션월드 등

여러 곳에서 1980년까지 총 11차례의 사육 시도가 있었지만

 

전부 열흘을 채 넘기지 못했다.

 

단 한 마리를 제외하고는 모든 개체가 먹이조차 거부했으며

일부는 죽었고 나머지는 사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방생했다.



5(1).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1980년에는 샌프란시스코의 Steinhart Aquarium에서

암컷 백상아리를 데려와 이름(Sandy)을 붙여주고 사육을 시도했지만

 

먹이를 거부하며 지속적으로 수조 벽을 들이받았고

 

결국 5일 만에 방생했다.

 

5(2).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1981년에는 씨월드에서는 16일 동안

"살려 두기"에 성공해서 기록을 세웠고 이후 방생됐다.

7.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1984년에는 몬트레이베이 아쿠아리움에서 열흘 동안 데리고 있었지만 결국 죽었다.

 

심지어는 어미의 자궁에서 갓 꺼낸

아주 어린 새끼들을 사육하겠다고 시도하기도 했다.

 

이렇게


8.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하지만 이마저도 하루만에 전부 죽고 말았다.


9.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가두리 양식장처럼 바다에 그물을 쳐서 수용하는 등

몇 차례의 사육 시도가 더 있었지만

장기 사육은 번번히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앞선 2004년 나온 몬트레이베이 수족관에서 총 25차례의 시도 이후

즉 적어도 백상아리 25마리를 포획해서 사육을 시도한 결과

 

1.4m 길이의 작은 백상아리를 무려 198일간 사육하는 데 성공했다.


10.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백만 갤런(약 370만 리터)의 바닷물이 들어있는 어마어마하게 거대한 수조에

작은 개체를 수용한 점이 성공의 비결이었다.

 

11.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이후 몬트레이베이 아쿠아리움에서는

여러 차례 백상아리의 장기 사육에 성공했다.

 

12.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총 6마리의 어린 백상아리를 붙잡아

수십 일에서 100일 정도 사육한 후에 몸집이 커졌다 싶으면

전파 발신기를 부착해서 다시 야생으로 방생했다.

 

덕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백상아리의 이동경로는 파악할 수 있었다.

12(1).gif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12(2).gif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물론 짧은 사육 기간에도 아쿠아리움의 수익 창출에는 큰 도움이 됐다.

 

백상아리는 몬트레이베이 수족관의 명물이 됐다.

 

사람들은 작은 상어가 헤엄치는 모습을 보고 감탄했으며

상어가 먹이를 물 때마다 탄성을 터뜨렸다.


13.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이어서 2011년에 몬트레이베이 수족관은

작은 수컷을 55일간 사육하고 바다로 돌려보냈고

이후 더 이상 백상아리 사육을 시도하지 않았다.

 

한동안은 어느 곳에서도 백상아리를 기르려고 하지 않았다.

 

근데 바로 올해 2016년 1월 5일


14.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일본 남서쪽의 바다에서 3.5m 길이의 수컷 백상아리가 그물에 걸렸다.

이 소식은 곧바로 오키나와의 츄라우미 수족관에 전해졌다.

 

14(1).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츄라우미(美ら海) 수족관은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수족관으로

이미 고래상어나 쥐가오리 같은 대형 어류의 사육으로 유명했다.

 

15.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물론 백상아리의 사육이 성공한 사례는 전혀 없었지만

무슨 자신감에선지 백상아리를 구입해 수조에 집어넣었고

 

16.gif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좀처럼 보기 힘든 백상아리를 손에 넣은 수족관은

이 사실을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그러나 이 상어는 모든 먹이를 거부하다가 전시 3일째 되는 날 가라앉아 죽고 말았다.

17.pn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이 사건은 전세계에 알려지게 됐고

결국 츄라우미 수족관은 돈도 잃고 상어도 잃고 욕만 먹었다.

 

 

2016년 4월 기준으로 현재 전세계에서 백상아리를 전시용으로 사육하는 곳은 없다.

다만 캘리포니아 쉐드 수족관에선 미군의 지원을 받으면서

백상아리의 훈련을 시도하고 있는데

바로 이 백상아리를 무기화하기 위해서다.


18.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백상아리를 멍청하고 사나운 짐승으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끝으로 이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


19.pn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호주의 한 어부는 어느 날 자신의 그물에서 백상아리를 발견했고

급히 풀어서 죽음의 위기에서 살려주었다.


20.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이후 무려 2년이 지났지만

그 백상아리는 여전히 어부를 따라다니고 있다.

21.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그는 이 백상아리에게 이름도 붙여주었다.

 

"가끔 내가 배를 멈추면 신디(Cindy)는 내가 서있는 쪽으로 다가온다.

내가 신디의 배와 목을 쓰다듬도록 수면 위로 올라오는데

쓰다듬어 줄 때는 기분이 좋은 듯 소리를 내며 눈을 돌리고 지느러미를 흔든다."

 

21(1).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그는 백상아리 신디 때문에 고기가 잡히지 않아서

몇 번이나 밀어내고 도망쳤지만 또 쫓아와서

이제는 생계를 걱정하고 있단다.

 

 

 

22.jpg "수족관에 백상아리는 없는 이유" 

출처 :http://theqoo.net/square/312669132

추천 5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9530 탈모인들에게 유용한 정보!! 7 봉알비어 03.02 5790 2 5
29529 타이타닉 2013년 모습 gnlfkdbzlvo 12.12 5790 2 0
29528 실제로 감옥 죄수들이 애용한다는 오나홀 헤이브라덜 08.23 5790 2 0
29527 몸을 사리지않았던 배우 물물 08.20 5787 3 0
29526 업무에 도움되는 무료사이트 happymilll 03.12 5787 2 0
29525 여자가 말하는 오르가즘 담배한보루 02.18 5785 1 0
29524 맥주가 몸에 좋은 9가지 이유 잡정보 01.29 5784 4 0
29523 제주도 가면 꼭 먹어봐야되는 길거리 음식 B… 갑자기어느 01.20 5781 2 0
29522 ㅇㄷ과 실제의 차이 NEWCHANCERY 06.08 5778 4 0
29521 추억의 장난감 BEST 11 (코딱지들의 로… ОЙ플ㅍrОi 12.17 5775 6 0
29520 잠 없는 사람 vs 잠 많은 사람 꼬깔콘 06.02 5770 7 0
29519 가보면 실망스러운 관광지 TOP 10 쿠쿠 08.31 5768 4 0
29518 하루 15분! 움직이지 않고 살빼는 방법!! 멍게 04.08 5767 2 0
29517 신발끈 묶는 다양한 방법 누트리 02.23 5765 3 0
29516 한국인의 성기 크기는? 세이호호홋홋 03.13 5762 0 0
29515 치킨 재생 꿀팁 차카게살아 07.04 5760 1 0
29514 브라 입는 방법으로 보는 성격 유형 슴맛트폰 10.01 5759 5 1
29513 피로회복에 좋은 음식 best5 아이해피 06.10 5759 1 0
29512 warning.or.kr을 뚫어보자 plzzz 02.09 5759 4 0
29511 여자가 좋아하는 남자 향수 Best 7 ~♥ 육덕살쾡이 04.13 5756 4 0
29510 도구가 없을 때 유용한 팁~!! 미친개 04.05 5752 1 0
29509 침 고이는 전라도 음식 Best 11 허니통통 06.16 5751 7 0
29508 운동화 마지막 구멍의 비밀 장일수 06.19 5747 0 0
29507 함께 여행가기 싫은 친구 유형 BEST 7 입덕 03.16 5741 1 0
29506 유용한 안드로이드 어플 모음 쩌러빠 03.11 5741 1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