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단독]누진제 한시적 완화 검토… 2단계 '200~500㎾h'로 확대 [기사]

  • 작성자: 1682483257
  • 비추천 0
  • 추천 1
  • 조회 1250
  • 2018.07.31

[머니투데이 세종=유영호 기자, 세종=권혜민 기자] [전기사용량 500㎾h가구 10만4140원→8만7264원 요금 16.2%↓… '적자 늪' 한전 경영실적·소비구조 영향 변수 ]


정부가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를 ‘제한적’으로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폭염으로 냉방기 사용이 늘어난 가정에 누진도가 낮은 구간의 전기요금을 적용, 부담을 줄여주는 게 유력하다. 다만 한국전력의 비용 부담(수익감소)이 커지고 전기소비구조에 왜곡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어 “폭염이 오래가면 에어컨을 오래 켜고 살아야 하고, 그렇게 되면 전기요금 걱정도 커진다”며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폭염이 특별 재난에 준하는 것이므로 전기요금에 대해서도 제한적으로 특별 배려를 할 수는 없는지 검토해봐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는 ‘제한적 특별 배려’ 차원에서 2015·2016년에도 시행했던 한시적 누진제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현재 주택용 전기요금은 △200㎾h 이하 △200~400㎾h △400㎾h 초과 등 3단계로 구분해 부과한다. 최저 단계와 최고 단계는 요율이 3배 차이가 난다.

산업부는 내부적으로 월전기사용량 400㎾h 초과, 500㎾h 이하 구간에 누진 3단계가 아닌 누진 2단계 요금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평소에 도시 4인가구 평균 월 전기사용량인 350~400㎾h를 쓰던 가정이 폭염으로 누진 3단계까지 전기사용을 늘렸을 경우를 ‘제한적’으로 구제하겠다는 취지다.

예를 들어 월 400㎾h 전기를 사용한 가정은 △기본료 1600원 △전력량요금 5만6240원 △부가세 5784원(기본료·전력량요금 합의 10%) △전력기반기금 2140원(기본료·전력량요금 합의 3.7%)을 더해 총 6만5760원의 요금을 낸다.

이 가정에서 폭염으로 전기사용량을 500㎾h로 늘렸다면 누진 구간이 올라가면서 요금은 10만4140원으로 증가한다. 한시적으로 누진 2단계 구간 상한을 500㎾h까지 높이면 요금 부담은 8만7128원으로 1만7012원(16.3%) 경감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시적 누진제 완화는 2016년 12월 누진제 개편의 전체적 영향 분석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면서도 “각 가정의 7월 전기요금이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비용부담이 문제다. 한시적 누진제 완화에 따른 비용은 전력판매사업자인 한전이 부담하는 구조다. 2015·2016년 한시적 누진제 완화 당시 한전의 영업이익은 연간 약 4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전은 지난해 4분기(-1294억원)와 올해 1분기(-1276억원) 2분기 연속 영업손실을 냈다. 올해 2분기에는 영업손실폭이 오히려 커질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전이 수천억원의 비용을 선뜻 감당하기가 쉽지 않다.

전기소비구조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점도 고민거리다. 국내 주택용 전기사용량은 전체 전기사용량에서 13~15%를 차지하지만 산업·일반용과 달리 쏠림이 커 전력 피크 상황에서 전력수급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자칫 한시적 누진제 완화가 가정의 전기 사용을 장려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경우 전체적인 수급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관련, 김진우 연세대 글로벌융합기술원 특임교수는 "더운 날씨에 가정의 냉방기기 사용이 많이 늘어난 만큼 제한적으로 완화해주는 방안을 고려할만 하다"며 "한전의 적자요인이 되는 것은 맞지만 과도하지 않은 범위에서 누진제 중위 구간을 넓혀주면 국민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유영호 기자 yhryu @ mt . co . kr , 세종=권혜민 기자 aevin [email protected] mt . co . kr

추천 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20505 20년만에 발견된 신개념 선가속 컨트롤 (f… 걸신 07.31 1696 0 0
20504 내일부터 당뇨치료 인슐린펌프용 주사기·바늘 … 미스터리 07.31 1233 0 0
20503 명품 다큐멘터리 10선.jpg 토닥스 07.31 2604 0 0
20502 생활의 달인(휴대전화).jpg ZALMAN 07.31 2056 1 0
20501 [단독]누진제 한시적 완화 검토… 2단계 '… 1682483257 07.31 1253 1 0
20500 [월드피플+] “가난아, 고마워!”…베이징대… 도시정벌 07.31 1480 0 0
20499 ㄱㅊ 굵기가 만족스럽지 않은 사람에게 희소식 미스터리 07.31 3195 1 0
20498 휴대폰 관리 꿀팁 .jpg 보스턴콜리지 07.31 2400 0 0
20497 쌀 전문가 호날두 08.01 1735 1 0
20496 여름휴가철 전국계곡탐방 248곳.jpg 인스타그램 08.01 1278 0 0
20495 ‘주사 대신 붙이는 패치’ 세계 첫 상용화 … Blessed 08.01 1138 1 0
20494 [카드뉴스] '열사병'의 위협…생활 속에서 … 수지큐 08.01 943 0 0
20493 얼굴은 타고난게 아니라 충분히 가꿀수 있다' 패턴을그리세요 08.01 1872 1 0
20492 약 먹는 고혈압 환자, 땀 많이 흘리면 위험 8888 08.01 1367 0 0
20491 마블 스마트폰 배경화면 모음 (30장).jp… shurimp 08.01 2658 1 0
20490 초간단 5초 만에 넥타이 매는 방법 뒷좌석 08.01 1562 0 0
20489 젖은 책 말리기 호날두 08.01 1699 1 0
20488 휴대용 장총 DNANT 08.01 1714 0 0
20487 열도의 위장약 부작용.jpg 도장깨기 08.01 2086 0 0
20486 ‘내보험 찾아줌’ 2.1조원 주인찾아가…아직… 주결경국지색 08.01 1677 0 0
20485 전국 지역별 라면 인기 지도.jpg 누굴까 08.01 1484 0 0
20484 수산시장에서 바가지 안 당하는 법 러키 08.01 1593 0 0
20483 화웨이, 스마트폰 시장 애플 제치고 2위 올… 1682483257 08.01 1041 0 0
20482 자동차 에어콘 작동 시 팁 레저보이 08.02 1596 1 0
20481 중고차 사기 전 폐차·침수차 여부 조회해보세… 빨래엔피죤 08.02 1243 1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