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서울대병원 의사가 말하는 미세먼지 대처법 "진공청소기 대신 물걸레질 하세요" [기사]

  • 작성자: 300tree
  • 비추천 0
  • 추천 2
  • 조회 1877
  • 2018.03.26
대기오염 심한 곳 사는 어린이 비만, ADHD 위험 증가
노약자, 임신부, 영유아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마스크 재활용 삼가고 물 조금씩 자주 마셔야
콘택트렌즈 대신 안경쓰고 청소나 튀김요리 후 3분 이내 환기

[ 이지현 기자 ]

죽음의 먼지, 잿빛 재앙, 은밀한 살인자. 미세먼지를 가리키는 말이다. 세계보건기구( WHO )에 따르면 2014년 세계에서 700만 명이 미세먼지로 사망했다. 1998년부터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가 조사한 초미세먼지 노출도에서 한국은 부동의 1위를 달리고 있다.

지난 주말부터 한반도를 찾아온 불청객 미세먼지 때문에 외출을 꺼리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서울대병원 김경남 환경의학과 교수, 최혁진 안과 교수의 도움말로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처법 등을 알아봤다.

▷의학 분야에서 미세먼지가 주목받은 것은 언제부터인가.
"1930년 벨기에의 뮤즈 벨리, 194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도노라, 1952년 런던 스모그 등 대규모 재난을 겪으며 대기오염이 건강에 막대한 피해를 끼칠 수 있다고 알려졌다. 1990년대 초, 기준 이하 농도에서도 대기오염이 심할수록 사망위험이 증가한다는 하버드대 연구결과가 발표된 뒤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커졌다. 지금은 선진국을 포함해 세계적으로 대기환경 기준이 더욱 강화되는 추세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차이는.
"대기오염 물질에는 가스상 물질과 입자상 물질이 있는데 먼지는 대기 중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리는 입자상 물질( PM ; Particulate Matter )이다. 먼지 분류는 측정기술 발전과 함께 세분화 됐다. 2000년대에는 지름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PM 10, 2010년대에는 머리카락 지름 25분의 1 크기인 PM 2.5를 주로 연구했다. 국내서는 PM 10을 미세먼지, PM 2.5를 초미세먼지로 번역했지만 지난해부터 환경부는 PM 10을 부유먼지, PM 2.5를 미세먼지로 용어를 정비했다. 하지만 두 용어가 여전히 섞여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히는 PM 10와 PM 2.5로 구별할 필요가 있다."

▷크기별로 별도 측정하고 관리하는 이유는.
"먼지의 분류는 측정 기술 발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임의적 측면이 있다. 하지만 여러 연구에서 먼지 크기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 알려졌다. 특히 지름 20 마이크로미터 이상 먼지는 상기도까지만, 5 마이크로미터 이하 먼지는 폐포까지 침투할 수 있다는 점이 알려져 별도로 측정, 관리하고 있다. 앞으로는 더 작은 크기의 먼지에 대해 측정하고 관리할 가능성이 있다."

▷미세먼지의 발생원은 무엇인가.
"입자 크기는 발생원에 따라 달라진다. 대개 토양에서 기원하는 먼지나 소각과정에서 나오는 그을음 등은 입자 크기가 크지만 고온의 연소과정을 거쳐 나오는 입자는 크기가 매우 작다. PM 10과 PM 2.5의 발생원이 정확히 구분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발전소, 공장, 자동차 오염원은 PM 2.5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반면 3~5월경 우리나라에 자주 영향을 주는 황사는 흙먼지로 PM 10의 발생원이다."

▷하늘이 맑고 파란 날도 미세먼지 영향을 받나.
"일반적으로 PM 10보다는 PM 2.5가 빛의 산란을 쉽게 일으켜 가시거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PM 10 농도가 높아도 PM 2.5 농도가 보통이면 실제로는 가시거리가 길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대기오염이 높은지 낮은지 판별하기 어렵다. PM 10과 PM 2.5 농도는 비숫한 경향을 보이지만 일치하지 않을 때도 있어 모두 확인할 필요가 있다."

▷국내 미세먼지 분류 기준과 외국 기준은 다른가.
"미세먼지 환경기준은 오는 27일부터 PM 2.5 일평균 15㎍/㎥이하 좋음, 35㎍/㎥이하 보통, 75㎍/㎥이하 나쁨, 76㎍/㎥이상 매우 나쁨이다. 국내 뿐 아니라 미국과 유럽에서도 지속적으로 기준을 강화하는 추세다. 행정적 기준에 얽매이기 보다 직접 확인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미세먼지는 어떤 경로를 통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지름 100 마이크로미터 이상 먼지는 눈, 코, 인후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지만 호흡기 깊숙이 들어 오지 못한다. 20 마이크로미터 이상 먼지는 상기도까지 침투할 수 있고 5 마이크로미터 이하 먼지는 폐 속 깊이 폐포까지 침투 할 수 있다. PM 2.5 표면에는 산화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중금속 같은 유해물질이 많이 흡착돼 있다. 이런 물질들이 직접 폐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면역 관련 세포들 작용으로 이차적인 국소염증반응을 발생시켜 호흡기계 손상 뿐 아니라 전신에 확산돼 심혈관계, 뇌신경계 등에 영향을 끼친다. 최근에는 전신 순환계로 직접 침투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세먼지는 구체적으로 어떤 질병을 일으키나.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악화다. 수개월 간 장기 노출 뿐 아니라 몇 주 내의 단기 노출에도 악화 위험성이 증가한다. 특히 천식 환자에게는 단 몇 일간의 바깥 외출이라도 미세먼지 환경이 나쁠 때에는 병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 주의해야 한다. 또 미세먼지는 순환기계 즉,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허혈성 심질환, 고혈압, 죽상경화증과 같은 혈관성질환을 악화시키거나 사망률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심부전, 부정맥, 뇌졸중 등 여러 심장질환 위험도 증가한다."

▷미세먼지는 우울증과도 관련이 있나.
"미세먼지에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뇌 등 다른 기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최근 연구결과가 있다. PM 2.5에 장기노출되면 전신적 염증반응이 높아지고 이 때문에 우울증 발생과 자살 위험이 증가한다는 내용이다. 성인과 노령인구에서는 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 영유아는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같은 발달장애 질환 위험 증가가 보고된다."

▷대기오염과 미세먼지는 발암물질인가.
" WHO 국제암연구소는 2013년부터 대기오염과 미세먼지는 각각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 근거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 1급 발암 물질( Group 1)로 분류하고 있다. 이런 연구는 특정 국가뿐 아니라 세계 각국 연구에서 일관성을 보인다. 폐암은 물론, 방광암과의 관련성도 보고된다. 유방암과 혈액암은 아직 데이터가 부족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미세먼지가 임산부, 태아 및 유아 등 취약자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나.
"임신기간 중 PM 2.5나 PM 10 노출되면 2500g 이하 저체중 출산과 37주 이내 조기출산을 유발할 수 있다. 저체중 출산은 태아 사망률을 증가시키고 장기가 덜 자라 여러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사산과 태아의 선천성 이상과 관련성이 의심되고 있으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영유아는 낮은 농도의 노출에도 다양한 영향을 보일 수 있다. 수년간 대기오염이 높은 지역에서 살았던 어린이들은 폐기능 성장 부진, 비만 위험 증가, 인지기능 저하, 자폐스펙트럼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이 증가한다는 연구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미세먼지로부터 건강을 지키기 위한 원칙은.
"지역별 실시간 대기오염도는 환경부에서 운영하는 에어코리아 웹페이지에서 공개되고 있으니 이런 정보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PM 2.5, PM 10 농도가 높을 때는 자전거 타기나 달리기 등 외부 활동을 줄이고 필요하다면 보건용 마스크를 사용방법에 맞게 착용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한 보건용 마스크는 제품 외부 포장에 의약외품과 KF 80, KF 94, KF 99 등이 표기돼 있다. 숫자가 높을수록 외부 PM 2.5나 PM 10을 더 많이 여과하지만 호흡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기저질환이 없는 일반인은 KF 80 정도를 쓰면 큰 문제가 없다. 실내에서는 창문을 닫아 PM 2.5, PM 10 유입을 차단하고 고성능 헤파필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보건용 마스크의 바른 사용법은.
"보건용 마스크 외에 방한 마스크와 일회용 마스크는 차단 효과가 매우 작다. PM 2.5는 머리카락의 1/20~1/30 크기이기 때문에 일반 천은 쉽게 통과한다. 마스크는 사용 방법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사용설명서를 참고하되 일반적인 원칙은 코, 뺨, 아래턱 쪽으로 오염물질이 들어오지 않도록 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세탁을 하면 모양이 변형돼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세탁 후 재사용은 피해야 한다. 휴지를 덧 댈 경우에는 틈새로 미세먼지가 흡입이 될 수 있다. 미세먼지는 대부분 코를 통해 흡입되기 때문에 입만 가려서는 소용이 없다."

▷미세먼지 씻어 내기 위해 삼겹살 등 기름진 것을 많이 먹으면 좋아진다는 속설이 있다. 미세먼지 배출에 도움이 되는 음식은.
" PM 2.5, PM 10 노출로 인한 건강 영향을 줄여 준다는 증거가 풍분한 식품은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코와 호흡기 점막의 수분량이 많아져 먼지를 잡 흡착해 배출 시킬 수 있도록 물을 조금씩 자주 마시면 좋다. 가글과 양치질, 비강 내 생리식염수 세척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PM 2.5와 PM 10 노출로 산화손상, 만성염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항산화 기능이 큰 녹황색 채소, 과일, 해조류의 적당한 섭취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신체뿐만 아니라 외부 노출되는 가방과 옷 등도 영향이 있나.
"야외 활동 후 옷이나 가방 등에 PM 2.5나 PM 10과 같은 먼지가 쌓였다 집에 들어오면 이차적으로 실내를 오염시킬 수 있다. 귀가 전 옷이나 가방에 묻은 먼지는 바람을 등지고 꼼꼼하게 털어내야 실내 오염을 막을 수 있다. 외출 후에는 손 씻기 뿐 아니라 머리도 사이사이에 쉽게 털어지지 않는 PM 2.5, PM 10 제거를 위해 감아야 한다. 특히 집에 영유아나 임산부, 만성질환자가 있으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 실내 환기는 어떻게 하나.
" PM 2.5와 PM 10 농도가 높으면 가급적 창문을 닫고 환기 횟수를 줄여야 한다. 그러나 고기를 굽거나 튀김 요리를 했을 때, 청소나 흡연을 했을 때는 실내공기가 더 나쁠 수 있다. 이 때는 창문을 열거나 환기장치를 작동하는 것이 좋다. 창문을 열어 환기할 때는 가능한 한 3분 이내로 하고 환기 후에는 먼지가 쌓이기 쉬운 부분들을 물걸레로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이 좋다. 미세먼지는 실내에 들어오면 가라 앉지 않고 떠다닐 수 있기 때문에 진공청소기 보다는 물걸레 사용을 권장한다. 천식같이 대기오염에 민감한 사람이 있으면 PM 2.5, PM 10 농도가 낮아질 때까지 가급적 창문을 열지 않는 것이 좋다."

▷미세먼지와 관련해 사회적으로 어떤 대책이 필요한가.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 문제는 우리 모두의 문제이고 개인이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오염물질을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자동차, 공장, 발전소, 공사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줄이고 불법소각을 금지해야 한다. 중국이나 북한에서 기인한 오염 역시 국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국제적으로 다함께 노력하고 정보공유,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미세먼지가 많은 날은 렌즈보다 안경을 써야 하나.
"미세먼지는 안구 표면에 침착해 자극하고 염증을 일으킨다. 특히 최근 연구에서는 염증이 안구건조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건성안을 유발하게 되기 때문에 안경 착용이 이점이 있을 수 있지만 과학적으로 확인된 결과는 아니다. 렌즈를 끼면 각막으로 전달되는 산소 투과가 감소된다. 소프트렌즈는 특유의 부드러운 성질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의 수분이 필요한데 눈 표면을 덮으면 유일한 수분 공급원인 귀중한 눈물을 나눠 쓰는 결과가 된다. 하드렌즈는 미세먼지와 별개로 황사 같은 큰 입자가 날릴 때 이물질이 렌즈와 각막 표면 사이로 들어가 자극을 일으키고 각막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경 착용이 바람직하다. 안경은 바람을 막아주는 효과도 있어 미세먼지가 많은 날 눈 건강을 위해 렌즈보다 안경 쓰는 것을 추천한다."

▷그 외에 눈 건강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미세먼지로 대기오염지수가 나쁠 때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충혈, 이물감, 작열감 등 안구 자극 증상을 보이면 안과를 방문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현대 사회에서 불가피하게 증가하고 있는 안구건조증 관련해서는 작업 환경 개선이 상당히 중요하다. 컴퓨터나 휴대폰 등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시간이 많아지면 눈깜빡임 횟수가 줄어 눈물의 증발이 증가한다. 난방을 심하게 하면 실내 습도가 낮아져 증상이 심해진다. 가습기를 사용해 습도를 맞추고 실내온도를 낮추거나 환기를 시키는 것이 도움된다. 눈의 자극 증상이 심할 때는 가급적 눈화장이나 염색과 같은 자극원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는 것도 도움된다. 경구약으로 오메가-3 복용이 염증을 줄이고 눈꺼풀 내 기름샘 기능을 좋게 해서 안구건조증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다. 자외선은 눈의 노화를 촉진하는데 이를 막기 위해 햇빛이 강한 날에는 썬글라스 착용을 하는 것이 좋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추천 2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9780 일본에서 개발된 "인간 우버" 곰시누 02.02 1877 2 0
19779 간단하지만 알아두면 좋을 깨알 꿀팁 모음.j… 던함 04.20 1877 2 0
19778 6년 연구한 떡볶이 레시피.jpg 스포츠맨 05.22 1877 0 0
19777 이사 준비할 때 꿀팁 10가지 !! [스압] 러키 11.21 1877 0 0
19776 코숏의 종류와 성격을 알아보자 걸더쿠 03.25 1877 1 0
19775 백화점 2020년 상반기 매출 순위 똥꼬긁적 10.27 1877 0 0
19774 유독 한국에서만 위상 낮은 외국 요리 몇가지질문 12.19 1877 0 0
19773 덩케르크 촬영 비화 그런데말입니다 01.26 1877 0 0
19772 현실적인 일본 취업 조언 자격루 06.26 1877 0 0
19771 인민군 출신 국군 투스타 사단장 Blessed 09.04 1877 0 0
19770 감기 몸살에 좋은 약초 까밀로제스틱 12.27 1876 2 0
19769 대한민국 남성 포경수술 비율 확 줄었다 도시정벌 01.28 1876 0 0
19768 피카소·모네·마티스… 록펠러 부부 소장품 5… 레저보이 04.13 1876 2 0
19767 뽐뿌오는 다이소 김서림 방지 필름.jpg 오피니언 09.24 1876 1 0
19766 인물사진 "자동 배경 제거" 사이트 베른하르트 06.20 1876 1 0
19765 [펌]초보자들을 위한 자동차보험 꿀팁모음 98328475 10.23 1876 1 0
19764 수면 자세를 통해 알아보는 한 사람의 성격 KBO리그 08.22 1876 1 0
19763 사람들 평이 좋은 버터 추천 대관령한우 10.02 1876 0 0
19762 민간인들을 약탈하던 헌병들을 멈춰 세운 것 스트라우스 12.02 1876 0 0
19761 기아 NEW로고(즐) 박힌 '스포티지' 신형… 비타민C 01.15 1876 0 0
19760 하와이에 존재하는 자연동굴 피아니스터 04.29 1876 0 0
19759 봉준호 "화성연쇄살인사건 진범, '살인의 추… 피아제트Z 07.08 1876 0 0
19758 전세계 국가별 살인율.jpg 월화수목금금금 12.06 1875 1 0
19757 빗썸 가상화폐 거래소 보안 수준..jpg 올림픽대로 02.10 1875 0 0
19756 피피티를 위한 무료 이미지 사이트 모음 헤어롤 03.18 1875 2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