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쌀벌레 생긴 쌀, 밥해 먹어도 될까?

  • 작성자: kimyoung
  • 비추천 0
  • 추천 1
  • 조회 1009
  • 2022.10.19

쌀 벌레 퇴치 및 보관법

쌀벌레가 생긴 쌀로 밥을 지어 먹어도 괜찮지만, 몇가지 살필 점도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부쩍 쌀쌀해진 날씨에 온기를 찾는 건 사람 뿐이 아니다. 벌레도 추위를 피할 곳을 찾아 건물 안, 집안을 찾아 들어간다. 이맘 때쯤 나방파리, 쥐며느리, 쌀바구미, 꼽등이, 바퀴벌레 등이 집안에서 자주 출몰하는 이유다.

이 중 쌀바구미, 즉 쌀벌레는 쌀에서 살다가 진화하면 집안 곳곳을 날아 다니는 골칫덩어리다. 쌀벌레 중 화랑곡나방 유충은 강한 이빨과 턱을 갖고 있어 주변 제품의 포장지를 뚫고 침입해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빨리 차단하는 것이 상책.

이미 쌀통 속에 쌀벌레들이 자리를 잡았다면 쌀벌레용 전용퇴치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손쉽지만  100 % 퇴치하지 못한다. 쌀벌레는  28-29 ℃ 정도에서 가장 활발하게 생길 수 있고,  13 ℃ 이하에서는 활동을 잘 하지 못한다. 밖은 추워지지만 난방을 시작하는 이맘 때쯤 가정집에서 쌀벌레가 쉽게 생길 수 있다. 아래와 같은 방법이 지혜가 될 수 있다.

집에서 쌀벌레 퇴치하는 방법

√ 쌀통에 있는 묵은 쌀은 다 먹고 새 쌀을 넣어 밑바닥에 묵은 쌀이 계속 남아 있지 않게 한다.

√ 벌레는 다른 장소에서 살기 좋은 곳으로 이동해 온다. 가능한 쌀통 청소를 자주 해준다.

√ 쌀벌레를 퇴치하려면 마늘, 건고추, 숯 등을 넣어두어도 효과가 있다. 습기 흡수에도 좋다.

√ 김이나 식품 속 방습제 실리카겔을 모아 한 그릇에 담아 쌀통에 넣어둔다.

√ 쌀통에 쌀을 넣고 신문지로 덮어둔다.

쌀벌레 생긴 쌀, 밥 해서 먹어도 될까?

쌀벌레가 생겼다고 쌀을 다 버릴 필요는 없다. 잘 씻어 밥을 지어먹어도 무방하다. 다만 물에 담갔을 때 둥둥 떠다니는 쌀들이 많으면 이미 묵은 쌀이다. 쌀벌레에 의해 영양분이 다 빠진 상태다. 죽은 쌀벌레도 물에 뜬다.

이런 쌀에는 쌀벌레의 알이나 이들의 배설물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다. 여러 번 깨끗하게 씻어주는 것이 좋고 묵은내를 없애려면 식초를  2-3 스푼 넣어  30 분 이상 쌀을 물에 불려준다. 이후 다시 헹구어 맑은 물로 밥을 지으면 된다. 만약 쌀벌레가 생긴지 오래돼 화랑곡나방으로 변해가는것이 눈에 띈다면 아깝지만 쌀을 버리거나, 오랜 시간 볕에 말리자.

쌀 어떻게 보관해야 할까?

쌀을 진공 보관기에 넣어도 쌀벌레는 생길 수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튀김이나 조리, 불 사용 등으로 인한 높은 온도, 가전제품에서 방출되는 열도 쌀 보관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신선한 쌀을 먹기 위해서는 보관이 중요하다.

습기  = 쌀은 습기를 가장 조심해야한다. 쌀은 수분을 쉽게 빨아들이는데, 습기를 머금은 쌀에는 곰팡이나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물을 쓰는 곳과 가능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습기가 없는 서늘한 곳,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적은 곳이 쌀을 보관하기에 좋다. 냉장고에 두는 것도 효과적이다.

직사광선  = 햇빛에 노출된 쌀은 건조되면서 금이 가고 그 사이로 전분이 나와 변질되기 쉽기 때문에 직사광선을 피해야 한다. 예부터 독에 쌀을 보관했던 것도 이때문이다.

포장  = 종이에 포장된 쌀은 별도의 쌀독이나 쌀통에 보관할 필요 없이 그대로 보관해도 되지만 비닐을 코팅한 종이나 은박지를 입힌 포장은 공기가 차단되어 부적당하다.

냄새  = 쌀은 수분뿐 아니라 공기 중 냄새도 빨아들이기 쉽다. 냄새가 쌀에 배이면 씻어도 빠지지가 않는다. 세제나 기름류 등 냄새가 강한 물건 옆에는 두지 않는다. 가스레인지와 가전제품에서 떨어진 장소에 보관하고,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쌀통에 사과를 넣어 두는 것도 좋다.

추천 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7505 두바이 미래 박물관 헿헿 09.25 1929 1 0
17504 이동진이 선정한 한국 천만영화 1~20위 피아니스터 09.25 1743 1 0
17503 Gmail의 "전송 취소 가능" 시간을 늘이… HotTaco 09.28 784 1 0
17502 “삼성 얼마나 급했으면” 147만원→76만원… 올림픽대로 09.28 1497 1 0
17501 구입해놓고 안 쓰는 물건 8가지 꼬출든낭자 10.03 1288 1 0
17500 흔한 정말 받기 싫은 명절 선물 세트 top… 404에러 10.03 1022 1 0
17499 비타민 복용시 주의점 한장의카드 10.05 608 1 0
17498 손가락 긴 남자, 정자 더 많다? 손 보면 … WhyWhyWhy 10.05 691 1 0
17497 만병통치.. 팔굽혀펴기 운동 보스턴콜리지 10.05 1252 1 0
17496 정신과 의사들이 알려주는 진짜 자존감 올리는… 수지큐 10.07 1238 1 0
17495 10월 7일 맘스터치 행사 gㅐ꼴락 10.07 1143 1 0
17494 ‘설거지옥’ 구세주 식기세척기, 올바른 사용… 인텔리전스 10.12 930 1 0
17493 술 마시면 얼굴 빨개지는 사람, '이 병' … Homework 10.17 804 1 0
17492 술 끊으면 쉽게 치료? 지방간에 대한 오해 암행어사 10.19 854 1 0
17491 '양반다리'의 부작용, 이렇게 많고 이렇게 … 인스타그램 10.19 1113 1 0
17490 쌀벌레 생긴 쌀, 밥해 먹어도 될까? kimyoung 10.19 1010 1 0
17489 “소변 참다 죽은 사람도”…참으면 안 되는 … 난기류 10.20 1276 1 0
17488 ‘배가 부어 올랐다면?’ 무시해선 안될 위장… 도장깨기 10.21 1314 1 0
17487 iPhone의 버그 AirPods 분실 통지… Crocodile 10.21 1003 1 0
17486 전남친·전여친 연락은 왜 새벽에 올까? 숄크로 10.25 820 1 0
17485 덜 익은 녹색 바나나, 노란 바나나보다 건강… 탕웨이 11.03 950 1 0
17484 유전자 가위로 싹뚝…위암세포, 간 전이 막을… corea 11.04 832 1 0
17483 의외로 요새 10대들은 모르는 거 소피아 11.04 1650 1 0
17482 같이 일하기 싫은 최악의 동료는? 좀비행 11.06 1182 1 0
17481 이것만 알면 맞춤법 마스터 그루 11.07 1225 1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