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전전궁금] 1+1=1.3, 맞벌이면 손해보는 국민연금 이야기 [기사]

  • 작성자: Chivalry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1244
  • 2019.05.26


1+1=1이라는 이상한 공식이 맞는 분야가 있다. 때로는 1+1=1.3이 되기도 한다. 국민연금 급여 조정 얘기다.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에 가입해 노후에 노령연금을 타다가 한 명이 사망하면 이런 일이 생긴다.

국민연금제도는 1988년 도입돼 해를 거듭하면서 부부수급자도 매년 늘고 있다. 부부수급자는 2014년 15만 8천142쌍에서 2015년 18만 5293쌍, 2016년 22만 2천273쌍, 2017년 27만 2천656쌍, 2018년 29만 7천186쌍으로 30만 쌍에 육박했다.

국민연금은 가입자 개인별로 노후 위험(장애, 노령, 사망)을 대비하도록 보장하는 사회보험으로 부부가 모두 가입하면 보험료를 낸 기간에 따라 남편과 부인 모두 노후에 각자 숨질 때까지 각자의 노령 연금을 받는다.


하지만 부부가 모두 연금을 받다가 한 사람이 먼저 생을 마감하면 사정이 달라진다. 이른바 '중복급여 조정 규정'에 따라 남은 배우자는 자신의 노령연금과 유족연금 중에서 유리한 한 가지를 골라야 한다.

①사망한 배우자의 유족연금(사망한 배우자가 받던 노령연금의 40~60%)을 선택하면 유족연금만 받는다. 자신이 부은 노령연금은 한 푼도 받을 수 없다. 1+1=1이 되는 것이다.

②만일 자신의 노령연금을 고르면, 노령연금에다 유족연금의 30%를 추가해 받을 수 있다. 2016년 12월 이전까지 이런 유족연금 중복지급률은 20%였다가 30%로 올랐다. 1+1=1.3이 되는 셈이다.

그렇다면 왜 제도가 이렇게 설계됐을까.

정부 설명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자신이 낸 보험료만큼만 받는 민간연금상품과는 달리 사회보험으로 소득재분배 기능도 갖고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사회 전체의 형평성 차원에서 한 사람의 과다 급여수급을 막고 더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장치를 뒀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가입자들의 불만은 적지 않다.

우리나라 국민연금과는 달리 캐나다, 프랑스, 영국 등 다른 선진국 연금이나 공무원연금 등 국내 다른 공적연금은 이런 중복급여 조정을 하지 않는다. 대신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급여 한계 금액을 설정해 놓고 있을 뿐이다.

공무원연금보다 불리한 국민연금

외국과 비교할 필요도 없이 국민연금은 이 중복지급률 면에서 공무원 연금에 비해서도 불리하다. 국민연금은 중복 지급률이 30%지만 공무원 연금은 50%다. 국민연금은 1+1=1.3인 반면, 공무원연금은 1+1=1.5란 얘기다.

정부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족연금 중복지급률을 현행 30%에서 40%로 상향 조정할 계획을 하고 있기는 하다.

일부 연금전문가는 지금처럼 자신의 노령연금을 고르면 유족연금의 30%를 더 주듯이, 유족연금을 택하더라도 유족연금만 줄 게 아니라 노령연금의 30%를 더 얹어주는 식으로 중복급여 조정제도를 고칠 것을 주장한다. 또 장기적으로 중복지급률을 50%까지 상향 조정할 것도 주장한다.

윤한덕 전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센터장 빈소 모습
올 2월 과로로 순직해 국민적 안타까움을 산 윤한덕 전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장. 그는 2010년 의료원이 정부 기관에서 특수법인으로 전환될 때 공무원 신분을 포기했다고 한다. 당시 서기관(4급)이었던 그는 복지부로 자리를 옮길 경우 공무원 신분 유지가 가능했지만, 의료원에 남기를 희망했다고 한다. 응급 의료체계 구축에 전념하겠다는 이유에서였다.

그의 높은 뜻을 많은 이들이 칭송하고 있지만, 연금만 보면 손해를 봤을 가능성이 크다. 국민연금은 공무원연금에 비해 소득대체율, 유족연금 지급률, 중복지급률에서 모두 불리하기 때문이다.

유족연금만 봐도 국민연금은 사망한 배우자가 받던 연금의 40~60%만 준다.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일 때 40%, 10~20년 일 때 50%, 20년 이상일 때는 60% 지급) 반면 공무원 연금은 60%를 보장한다.

맞벌이 부부, 배우자 죽으면 연금은?

요즘은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부부가 모두 노후에 연금을 받는 경우가 많다.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 가입자, 혹은 공무원 연금 가입자처럼 부부가 같은 연금에 가입했다면 비교적 간단한데 부부가 서로 다른 연금 가입자라면 좀 복잡해진다.

아래 표를 보면서 자신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된다.


예를 들어 남편은 국민연금(노령연금), 아내는 공무원연금(퇴직연금) 가입자라고 치자. 요건이 되면 부부는 각자의 연금을 모두 받을 수 있다. 그러다 남편이 먼저 사망하면 아내는 국민연금공단에서 나오는 남편의 유족연금(남편이 받던 노령연금의 40~60%)과 공무원연금공단에서 나오는 본인 퇴직연금을 받으면 된다. 반대로 아내가 먼저 사망하면 남편은 아내의 퇴직유족연금(아내가 받던 퇴직연금의 60%)과 자신의 노령연금을 함께 수령하면 된다.

즉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 가입자면 1+1=1.3이 되지만 부부 중 한 명이 국민연금, 나머지 한 명이 다른 특수직역연금 가입자라면 1+1=2가 된다는 얘기다.

본인과 배우자가 모두 공무원연금이나 사학 연금 등 특수직역연금에 가입한 경우를 보자. 이때는 배우자가 먼저 사망하면, 본인의 연금은 그대로 수령하고 배우자의 퇴직유족연금은 절반만 받게 된다. 1+1=1.5인 셈이다.



윤창희 기자 ( theplay @ kbs.co.kr )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4680 우리 국민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일본상식 … 탕웨이 05.27 1858 2 0
14679 천체간 자전속도 비교 난기류 05.27 1140 0 0
14678 화웨이"Apple사의 등에 화웨이 타켓안에 … 후시딘 05.27 1246 0 0
14677 영양소와 비만에 대한 고찰 (수정 진짜 끝) 오피니언 05.26 1320 2 0
14676 효린일진설 피해자 댓글 야구 05.26 2633 1 0
14675 허리 박살나는 자세.jpg 까밀로제스틱 05.26 2586 0 0
14674 독립 운동사 - 1929 광주학생운동, 신간… 보스턴콜리지 05.26 913 0 0
14673 2019 탈모인에게 좋은 샴푸 순위.jpg 모닥불소년 05.26 2231 0 0
14672 뇌를 먹는 동물이 있다? 걸신 05.26 1331 1 0
14671 [전전궁금] 1+1=1.3, 맞벌이면 손해보… Chivalry 05.26 1246 0 0
14670 노특북 살때 꿀팁 미해결사건 05.26 1794 0 0
14669 카카오프렌즈 우표로 나온다. 강건마 05.26 785 1 0
14668 고통을 덜어주는 마음가짐 방법 소련 05.26 1021 0 0
14667 설탕은 우리를 죽이고 있어요 토닥스 05.26 1035 0 0
14666 October가 왜 시월? 메시 05.26 1102 0 0
14665 한국인도 잘 모르는 보상과 배상의 차이 지율 05.26 1219 0 0
14664 신용카드 60만원쓰고 100만원 쓴 혜택보는… 모닥불소년 05.26 1522 0 0
14663 개쪽바리 전쟁범죄 - 제52회 휴스턴 국제영… 강건마 05.26 932 1 0
14662 윈도우 잠금화면 원클릭 삭제 펜로스 05.25 1549 1 0
14661 뉴욕 엠파이어 빌딩 근처에 뭔가 많다.. 토닥스 05.25 1647 0 0
14660 국내 종합부문 1위 스포츠 뒷좌석 05.25 1998 1 0
14659 다 큰 딸을 억압하려들면 올림픽대로 05.25 2320 1 0
14658 맛의 배신.JPG 슈퍼마켓 05.25 1948 1 0
14657 PC방 라면처럼 맛있게 끓이는 방법.jpg 사선쓰레빠 05.25 1705 0 0
14656 PC방 라면 끓이는 법.jpg 메시 05.25 1591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