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블루칼라'도 부익부 빈익빈···하루에 32만원 버는 이 직업 [기사]

  • 작성자: 빨래엔피죤
  • 비추천 0
  • 추천 1
  • 조회 1232
  • 2019.01.12

생각치도 못한 직업들도 있네요..


여러모로 대단합니다.


지난 20년간 제조업ㆍ건설업 등의 현장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평균임금(노임단가)이 업무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른바 ‘블루칼라’ 직종 안에서도 양극화가 심화한 셈이다.

12일 대한건설협회ㆍ중소기업중앙회ㆍ한국물가정보 등이 1990년과 올해의 공사부문과 제조부문(각 15개)에서 30개 항목의 노임단가를 조사한 결과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 @ joongang . co . kr

30개 항목 중 가장 평균 노임이 가장 많은 직종은 특고압 케이블 작업공(32만3944원·일급)이다. 산술적으로는 한 달 20일 일하면 648만원을 버는 고연봉 직종이다. 이들은 전력 공급을 위한 특별 고압 케이블(7000V 초과)을 설치하거나 노후화되면 보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연구원은 "특고압의 경우 위험성이 높고 전문 기술·경험이 필요하다 보니 고령화가 심하고 청년층이 유입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사람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여서 전기공사협회가 해외 인력을 교육해 국내 취업시키는 방안을 추진할 정도다.

이밖에 업무 위험성이 높고 고도의 숙련도가 필요한 비계공(높은 곳에서 일하도록 임시 가설물을 설치하는 노동자·22만4359원), 미장공(美裝工, 벽·천장 등에 시멘트 등을 바르는 사람·20만9611원) 등의 노임이 높았다.

노임단가란 대한건설협회와 중소기업중앙회가 매년 두 차례 발표하는 공사ㆍ생산ㆍ제조 노동자들의 평균 임금이다. 건설공사 예정가격을 산정하거나 공공기관과 납품계약을 맺은 업체가 납품단가를 산정할 때 등 다방면에 적용된다. 평균 노임(일급)은 조사 대상 업체가 직종별 생산직 근로자에게 준 총지급액(기본급+통상적 수당)을 시간당 임금으로 환산해 1일 8시간 근무 기준으로 계산한 평균 금액이다.

건물 외벽·선박 등에 페인트 등을 칠하거나 글씨를 쓰는 도장공(塗裝工·18만4508원) 역시 전문인력이다.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할 경우 질식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국에 수십 명에 불과한 아파트 도장공의 경우 20층 평균 높이인 60m에 매달려 작업하는 위험도 불사한다. 많이 버는 이 가운데서는 억대 연봉자도 적지 않다는 후문이다.

한국에서 일급이 17만6011원인 배관공의 경우 미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등 서구 선진국에서는 급여가 상당해 이민자들이 고려대상으로 꼽는 직업이기도 하다.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배관공의 평균 급여는 5만2590달러, 상위 10%는 9만1810달러(약 1억원)에 달했다. 미국의 억만장자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은 "하버드 대학 진학보다 배관공이 되는 게 낫다"고 말하기도 했다.

반면 마킹원(제품 치수 등 제품을 알려주는 각종 사항을 표시하는 사람·7만8763원)·세척원(7만4372원)·전자제품조립원(7만4250원)·식품제조원(7만2847원)·단순노무 종사원(7만2020원) 등은 노임이 낮았다. 올해 최저임금(8350원)을 8시간 기준으로 계산한 6만6800원과 비교해 차이가 약 1만원 정도였다. 업무가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위험도도 낮아 진입장벽이 크게 높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 @ joongang . co . kr

이처럼 블루칼라 업종 내의 '빈익빈 부익부'가 굳어지면서 최저임금과의 차이가 얼마 나지 않는 업종은 자연스레 취직을 기피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권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비슷한 금액을 받을 바에야 궂은일로 분류되는 일부 제조업·생산직 등은 피하고, 상대적으로 편한 다른 직무를 선호하는 경향이 생겼다”고 지적했다.

이런 일부 제조업종의 노임단가와 최저임금 간의 차이는 점점 좁혀지고 있다. 이유는 두 가지다.

우선 노임 단가제가 애초에 도입된 취지는 해당 산업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임금의 ‘하한선’을 마련해 최소한의 수입을 보장한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업계에서는 이를 지급 가능한 ‘상한선’으로 인식해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기에 시간당 5580원(2015년)에서 8350원(2019년)으로 가파르게 상승한 최저임금도 영향을 줬다.

예컨대 1990년만 해도 최저임금 노동자는 단순노무 종사원이 받는 58%만큼을 받았지만, 올해 기준으로는 93%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최저임금 노동자는 판금원(얇은 금속판을 가공해 자동차·선박·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각종 금속제품 제작)의 50%(1990년) 수준에서 올해 기준으론 77%까지 받게 된다.

권혁 교수는 "제조업 혁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정부가 숙련 기술자로 가는 직업훈련 지원 등 인센티브 제도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양질의 제조업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며 "그래야 원래 의도했던 소득주도 경제성장도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서유진 기자 suh . youjin @ joongang . co . kr

추천 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9855 쌀씻기 팁 note 03.13 1233 1 0
9854 새해기념 무료 운세 보는 사이트 공유 HotTaco 01.02 1233 0 0
9853 간식으로 좋다는 캐러멜 식빵 팝콘 만들기.j… 애기애기 01.09 1233 0 0
9852 건전지로 터치펜처럼 스마트폰에 그림 그리기 누굴까 03.03 1233 0 0
9851 일본문화중 가장 뻥튀기가 심하게 된것 kimyoung 08.01 1233 0 0
9850 BC 11세기 고대 문명 대멸망기의 미스테리 베른하르트 08.11 1233 0 0
9849 폐 기능이 꺼져가고 있음을 알려주는 다섯 가… 호날두 08.23 1233 0 0
9848 2019년 취약국가지수 순위.jpg 고키 10.22 1233 0 0
9847 베이컨 맛탕 ㅋㅋ 02.18 1233 0 0
9846 혜성 C/2020 f3 (NEOWISE) 명… 전차남 07.12 1233 1 0
9845 정신과 의사들이 알려주는 진짜 자존감 올리는… 수지큐 10.07 1233 1 0
9844 버핏 "최악의 일식 다신 안먹어"…다시 간 … corea 04.24 1233 0 0
9843 미북회담 현재 진행 상황 월화수목금금금 05.08 1232 2 0
9842 「2018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 거저줄게잘사가 06.28 1232 0 0
9841 파이썬 간단한 코드 모음집 베트남전쟁 10.31 1232 1 0
9840 굽은어깨펴는운동 삼성국민카드 02.17 1232 0 0
9839 김서림 방지제 유해물질 제품 목록 애기애기 03.06 1232 0 0
9838 AMD.라이젠-3세대 노출된 가격정보... 애기애기 03.20 1232 1 0
9837 보는 재미가 있는 NBA선수들의 시그니처 슈… 까밀로제스틱 05.05 1232 0 0
9836 펌)바퀴벌레 3주만에 박멸시키는 법.tip 도시정벌 06.14 1232 1 0
9835 한국 불매운동 걱정없다더니 일본 경제 ,산업… KBO리그 07.30 1232 0 0
9834 불 켜놓고 자는 습관 '이 병' 부른다 M4A1 03.22 1232 0 0
9833 뱃살..만드는 나쁜 식습관 vs 빼는 데 좋… HotTaco 05.31 1232 0 0
9832 2022년 드라마 시청률 탑10 1 흑련 02.07 1232 0 0
9831 전자레인지 청소법..jpg fioriranno 04.23 1231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