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과일은 건강 식품이 아니다

  • 작성자: 스콧트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1212
  • 2022.04.18
[헬스컨슈머] ‘몸에 좋은 신선한 제철 과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흔한 문구이다. 미디어에서는 늘 과일 섭취의 중요성을 채소와 함께 강조하고, 전문가들 역시 과일의 유익함에 대해 언급하며 자연 처방약이자 치료법이라고 안내한다. 이 사회적인 인식은 모두에게 퍼졌고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교육되며 세대를 넘는 진리가 된 지 오래다. 그 때문에 그 누구도 과일이 정말 몸에 좋은지에 대해 의심조차 하지 않는다. 하지만 누군가는 여기에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 과일, 정말 실제로 건강에 좋은 걸까?



[과일은 나무에 열리는 사탕이다]

우리의 적은 우리가 먹은 음식이다. 못 먹어서 병에 걸리던 시대는 오래 전에 지났고, 지금은 먹어서 병에 걸리는 시대다. 음식으로 인한 비만, 당뇨병, 심혈관 질환, 암 등의 질병은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하고, 언론은 병 주고 약 주기 식의 방송을 연달아 보도한다.

그렇다면 우리를 병들게 하는 음식은 무엇인가? 패스트푸드, 가공식품 등을 생각하겠지만 최고의 적은 ‘당’이다. 설탕은 만병의 근원이다. 설탕 섭취와 현대인들의 질병의 연관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여기에 동의하는 입장이다. WHO가 권장하는 하루 당 섭취량은 성인 남성 기준 하루 총 칼로리의 5%로, 하루 2,000kcal 영양분을 섭취 시, 25g 설탕을 섭취할 수 있다는 의미다. 25g은 약 5~6 티스푼에 해당하는 아주 적은 양이다. 아이들의 경우엔 이보다 더 적다.

흔히 과일의 당 성분은 천연 당이라 괜찮다는 말을 한다. 과연 그럴까?

과일은 포도당과 과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함유량은 과일 종류마다 다르고, 익은 정도에 따라서도 다르다. 포도당과 과당은 탄소, 수소, 산소 원자가 같은 수로 들어있지만 분자의 구조가 달라 몸 속에서 다른 대사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과당’을 흔히 과일 당분이라고 부르며, 천연의 설탕이라고 하는데, 사실 과당이 포도당보다 더 나쁘다는 최근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과당은 99% 이상 간으로 옮겨져 처리된다. 간에서 흡수된 과당은 포도당처럼 몸에서 쓸 수 있는 에너지로 분해되는게 아니라 지방을 만드는데 주로 사용된다. 특히 과일처럼 포도당과 과당을 같이 섭취하는 경우 과당은 예외 없이 지방산과 중성지방으로 바뀐다. 이는 지방간을 일으키고, 간 세포를 파괴해 간 수치를 높이고 L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 경화를 유발한다.

포도당의 경우 혈액 속에 농도가 증가하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지방세포에서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을 내보내서 위나 췌장에서 공복감을 느끼지 않게 만든다. 그러나 과당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지 않기 때문에 공복감과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 분비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아 음식을 먹어도 포만감을 느끼지 못하고, 더 먹고 싶다는 욕구를 느끼게 하는 것이다. 한번 과일을 먹기 시작하면 박스채로 먹어 치우게 된다는 경우도 이와 연관이 있다.

또한, 과당은 소장에서 모두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가 대장으로 넘어가 대장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가스가 차고, 배가 부풀면서 복통이 생기게 한다. 심한 경우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일으키기도 한다

호주의 정형외과 전문의인 개리 휏케(Gary Fettke) 박사는 강연에서 과일은 나무에 열리는 사탕과 다름이 없다는 말을 남겼다. 그 만큼 과일은 모두가 경계하지 않는 기호 식품일 수 있다.

[과일은 더 이상 자연적이지 않다]

제철 과일이라는 용어가 무색해질 만큼, 과일은 점점 더 날씨와 때를 가리지 않고 판매되고 있다. 이것이 현대의 과일이다. 과일은 더 이상 ‘자연적’이지 않다. 제조되고 있다. 직접 과일을 재배해 먹어본 경험이 있는 일반인이라면 이 말을 이해할 것이다. 직접 키운 과일은 절대 마트에서 파는 과일처럼 달콤하지 않다.

인간은 자연적으로는 얻을 수 없는 당도를 얻기 위해 과일을 제조하고 있다. 일년 내내 달달한 과일이 유통되도록 당도를 의도적으로 높이는 것이다. 높은 당 함량 때문에 탄산음료 대신 과일을 먹는 사람에게는 다소 충격적인 얘기일 수 있겠지만, 과일에 포함된 당은 콜라와 그리 차이가 없다. 코카콜라는 100ml당 10.8g의 당을 포함하고 있는데, 과일 100g 당 포함된 당을 알아보면 오렌지는 약 9g 포도는 약 14g, 사과 12g이 각각 들어있다. 물론 섭취한 뒤 혈당이 상승하는 속도인 혈당지수(GI)는 코카콜라보다 과일이 더 낮을 수 있지만, 어쨌거나 당분은 당분이다. 심지어 콜라보다 당이 더 많은 과일이 상당히 많다. 과일주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섬유질은 없고 당은 콜라만큼 높다.

품종개량을 통해 제조된 과일은 당도뿐 아니라 여러모로 상품성이 좋아진다.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과일의 경우, 보관기간이 짧고 운송 시 상처가 잘 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잘 판매되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과일의 섬유질을 줄여서 보관성을 좋게 만들고 있다. 또한, 파종에서 수확까지 화학약품이 많이 사용된다. 유통되는 과일 중 화학 처리를 전혀 하지 않는 과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옛 어른들은 ‘풋과일은 먹는 것이 아니다’ 라는 말을 흔히 하는데, 실제로 요즘 과일들은 운송을 위해 풋과일인 상태로 수확한 뒤 약품 처리를 통해 후숙 처리하는 경우도 흔하다. 주스로 만들 때나 잼을 만드는 공정에도 대부분 화학 물질이 추가로 들어가고, 특히 말린 과일의 경우 당분 함량도 높고 보존 처리를 위한 화학 믈질이 들어있는 경우가 다반사다.

[비타민, 무기질은 채소에 더 많다]

그럼 과일은 아무런 이득이 없는 식품인가? 그렇지 않다. 항산화 물질, 비타민, 무기질, 식물성 영양소 등 좋은 영양소도 들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성분 때문에 과일이 유익하다고 광고하는 것이 정당한 것인지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생략

http://www.healthumer.com/news/articleView.html?idxno=2394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9430 먹는 코로나 치료제 특징 정리 (기사 펌) 숄크로 12.27 1210 0 0
9429 빠니보틀이 29살 백수에게 해주는 조언 시노젖키아이 07.26 1210 1 0
9428 공공기관 사칭 문자에 시민 혼란 0z1z2z3z 11.11 1209 2 0
9427 소스없는 폭립 만들기, 리얼 맥주안주 Homework 11.15 1209 0 0
9426 다 쓴 건전지 체크 팁 추천합니다 12.22 1209 2 0
9425 가공식품 섭취, 암 위험 커져 인텔리전스 02.19 1209 0 0
9424 팔도비빔면 봄한정 신상 벚꽃비빔면 300tree 03.20 1209 2 0
9423 스마트 쥐덫 KBO리그 07.07 1209 0 0
9422 암탉이야기에서 언급된 천사이야기 호날두 10.07 1209 0 0
9421 바람없는 한반도와 베이징하늘 던함 11.14 1209 1 0
9420 맥주잔 거품 띠의 비밀 스콧트 08.04 1209 0 0
9419 어느 게임의 이야기 시노젖키아이 11.21 1209 0 0
9418 애플코리아, 애플 펜슬과 폴리오 키보드 가격… boldpark 03.19 1209 0 0
9417 백혈병 4억6천만 원 ‘기적의 신약’ 건강보… 전차남 03.26 1209 0 0
9416 2살이 킥보드 타고 헌법재판소 왔다…세계 첫… 안중근 06.13 1209 0 0
9415 늙은피를 주입했더니 진짜로 늙어버렸다 슈퍼마켓 08.13 1209 0 0
9414 뇌 전두엽 활성화시키는 방법 asm1 10.16 1209 0 0
9413 전문가가 이야기 하는 비빔라면 스프의 비밀 jpeg 04.23 1209 1 0
9412 보라카이(필리핀 유명관광지) 6개월 폐쇄 [… KBO리그 04.05 1208 1 0
9411 [펌] 허리에 무리없는 복근운동.jpg 수지큐 07.05 1208 0 0
9410 한국 유니세프의 진실 지식공유 10.09 1208 1 0
9409 쌔신 크리드 유니티 무료배포 DESKTOP 04.18 1208 1 0
9408 성운 같은 오팔(보석) ㅋㅋ 08.22 1208 0 0
9407 어설프게 아는 [불여우] 제대로 알자 Blessed 10.05 1207 0 1
9406 어느 기자가 바라본 제천화재 gami 01.20 1207 2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