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멍 때리기, 뇌의 수행 능력을 높여준다

  • 작성자: 지율
  • 비추천 0
  • 추천 1
  • 조회 1189
  • 2019.11.13

멍 때리기’는 흔히 정신이 나간 것처럼 한눈을 팔거나 넋을 잃은 상태를 말하는 신조어다. 지금까지 멍하게 있는 것은 비생산적이라는 시각 때문에 다소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멍 때리는 행동에서 세상을 바꾼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나온 때가 많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헤론 왕으로부터 자신의 왕관이 정말 순금으로 만들어졌는지 조사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고민에 빠졌다. 그러다 머리를 식히기 위해 들어간 목욕탕에서 우연히 부력의 원리를 발견하곤 너무 기쁜 나머지 옷도 입지 않은 채 ‘유레카’라고 외치며 집으로 달려갔다.

 

보통 사람의 경우에도 책상 앞에서 머리를 쥐어짤 때보다는 지하철을 타고 가면서 멍하니 있을 때 불현듯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때가 많다. 실제로 미국의 발명 관련 연구기관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미국 성인의 약 20%는 자동차에서 가장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린다고 한다. 뉴스위크는 IQ를 쑥쑥 올리는 생활 속 실천 31가지 요령 중 하나로 ‘멍하게 지내라’를 꼽기도 했다.

 

멍 때릴 때 아이디어가 떠오른다는 것은 과학적 근거가 있다

 

그럼 멍 때리기처럼 아무런 생각을 하지 않을 때 오히려 문제의 해답을 찾는 경우가 많은 것은 과연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일일까. 미국의 뇌과학자 마커스 라이클 박사는 지난 2001년 뇌영상 장비를 통해 사람이 아무런 인지 활동을 하지 않을 때 활성화되는 뇌의 특정 부위를 알아낸 후 논문으로 발표했다. 그 특정 부위는 생각에 골몰할 경우 오히려 활동이 줄어들기까지 했다. 뇌의 안쪽 전전두엽과 바깥쪽 측두엽, 그리고 두정엽이 바로 그 특정 부위에 해당한다.

 

라이클 박사는 뇌가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을 때 작동하는 이 특정 부위를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 DMN)라고 명명했다. 마치 컴퓨터를 리셋하게 되면 초기 설정(default)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아무런 생각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할 때 바로 뇌의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가 활성화된다는 의미다.

 

DMN은 하루 일과 중에서 몽상을 즐길 때나 잠을 자는 동안에 활발한 활동을 한다. 즉, 외부 자극이 없을 때다. 이 부위의 발견으로 우리가 눈을 감고 가만히 누워 있기만 해도 뇌가 여전히 몸 전체 산소 소비량의 20%를 차지하는 이유가 설명되기도 했다. 그후 여러 연구를 통해 뇌가 정상적으로 활동하는 데 있어서도 DMN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자기의식이 분명치 않은 사람들의 경우 DMN이 정상적인 활동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 스위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환자들에게서는 DMN 활동이 거의 없으며, 사춘기의 청소년들도 DMN이 활발하지 못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DMN이 활성화되면 창의성이 생겨나며 특정 수행 능력이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들도 잇달아 발표됐다. 일본 도호쿠 대학 연구팀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해 아무런 생각을 하지 않을 때의 뇌 혈류 상태를 측정했다. 그 결과 백색질의 활동이 증가되면서 혈류의 흐름이 활발해진 실험 참가자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신속하게 내는 과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난 것. 이는 뇌가 쉬게 될 때 백색질의 활동이 증가되면서 창의력 발휘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코넬 대학 연구팀은 유명인과 일반인의 얼굴 사진의 차례대로 보여준 후 현재 보고 있는 사진이 바로 전 단계에서 보았던 사진의 인물과 동일한지를 맞추는 ‘n-back’ 테스트를 실시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실험 참가자들은 DMN이 활성화될 때 유명인의 얼굴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일치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즉, 멍하게 아무런 생각 없이 있을 때 집중력이 필요한 작업의 수행 능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한 기존의 인식을 뒤엎은 연구 결과였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잠깐의 먼산바라기를 할 시간조차 차츰 잃어가고 있는 형편이다. 지하철을 탈 때에는 가만히 있기보다는 스마트폰으로 무언가를 열심히 하며, 잠깐 쉬는 시간에도 휴식이라는 이름 아래 게임을 주로 즐긴다. 하루 종일 끊임없이 뇌를 통해 무언가를 하기 바쁜 현대인들에게 잠깐씩의 멍 때리기가 절실한 셈이다. 멍해 있는 것은 뇌에 휴식을 줄 뿐 아니라 자기의식을 다듬는 활동을 하는 기회가 되며 평소에는 미처 생각하지 못한 영감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멍한 상태 자체가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만들어준다고 생각해선 안 된다. 문제에 대한 배경 지식과 그를 해결하려는 진지한 고민이 있어야만 그 같은 달콤한 결실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아르키메데스의 경우에도 평소의 배경 지식과 문제를 해결하려는 절박함이 있었기에 목욕탕의 물이 넘치는 것을 보고 유레카를 외칠 수 있었으며, 사과나무 아래서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뉴턴 역시 그런 경우이다. 다시 말하면, 뇌는 준비된 자에게만 멍 때리기를 통해서 베푼다고나 할까.

 

글 : 이성규 과학칼럼니스트

추천 1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9255 부담없이 요즘 먹기 좋은 과일 패턴을그리세요 09.20 1190 2 0
9254 [핵잼 사이언스] 우리 아이 비만 걱정된다면… 걸신 06.03 1190 1 0
9253 9월 14일부터 모든 학교서 커피 완전 퇴출… 후시딘 06.14 1190 0 0
9252 국립묘지에 안장된 매국노들 추천합니다 03.01 1190 1 0
9251 자영업 高임대료 / '뜨고 지는 길' 그 몰… note 04.18 1190 0 0
9250 대륙의 게임중독 치료법 담배한보루 05.24 1190 1 0
9249 "적색육 대신 생선 섭취하면 사망 위험 최대… 15990011 06.13 1190 0 0
9248 거북목 이게 젤 좋았어요 걸더쿠 08.03 1190 1 0
9247 지금 보면 아이러니한 비닐봉지가 발명된 이유 봉탁 11.01 1190 0 0
9246 멍 때리기, 뇌의 수행 능력을 높여준다 지율 11.13 1190 1 0
9245 새해 첫날부터 사라지는 마트 종이박스 note 12.04 1190 0 0
9244 벤츠 A클래스 세단 출격..2030 취향저격… sociality 02.18 1190 0 0
9243 구글, 코로나19 관련 대책 발표 ― 행아웃… 국거박 03.16 1190 0 0
9242 더현대 서울 개점 1년, 매출 8000억원 … 폭폭 03.31 1190 0 0
9241 "원숭이두창 국내 유입 가능성"…걸리면 머리… WhyWhyWhy 06.03 1190 0 0
9240 수산시장의 저울 장난 파헤치기 베른하르트 03.09 1189 1 0
9239 각 스포츠별 연패기록 꼬출든낭자 03.26 1189 0 0
9238 스티브 유와 스페인 이강인 귀화 피아제트Z 07.02 1189 1 0
9237 1인칭시점 넥타이 매는법.jpgif 신디유 07.30 1189 0 0
9236 세계보건기구(WHO)의 성인 하루 소금 권장… shurimp 10.02 1189 0 0
9235 (변태 목사 아웃~!) 추적60분 아동,청소… 숄크로 12.14 1189 0 0
9234 청력 손실 위험 - 이어폰, 헤드폰 소리 너… 0z1z2z3z 02.14 1189 0 0
9233 치실에 발암물질 검출된다고 하니 확인하세요! 베트남전쟁 04.25 1189 0 0
9232 JTBC가 그냥 까버린 일본 방사능 수치.ㄷ… 15990011 08.23 1189 0 0
9231 포카칩 신제품.jpg 수지큐 08.27 1189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