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썰빠



본문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는 오늘은 1년 중 가장 더운 절기 '대서(大暑)' [기사]

  • 작성자: 아냐모르냐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1162
  • 2018.07.23
[더,오래] 성태원의 날씨이야기(25)
 
대서(大暑·7월 23일) 절기 즈음의 폭염 기세가 장난이 아니다. 전국이 낮에는 찜통더위, 밤에는 열대야로 몸살이다. 대구, 경주 등지에선 체온보다 높은 37~38℃의 폭염을 기록했다. 이러다간 지난 30년간 폭염 일이 가장 많았던 1994년처럼 한 달 내내 폭염 행진이 계속될지 모른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최근 30년 간 폭염일수 순위(전국 45개 지점 평균). [자료 기상청]

최근 30년 간 폭염일수 순위(전국 45개 지점 평균). [자료 기상청]



낮 최고 기온이 33℃ 이상이면 '폭염'
폭염은 낮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씨를 말한다. 올해 전국적 폭염 현상은 장마가 일찌감치 끝난 지난 7월 11일부터 18일 현재까지 8일째 이어지고 있다. 기상청은 이러한 폭염이 일단 다음 주(7월 22일~28일)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기상청이 7월 18일 11시에 발표한 폭염 특보 지도는 일부 폭염주의보 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이 온통 검붉은 폭염 경보 색깔로 뒤덮여 있다. 최강 폭염이 전국을 강타하고 있음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전국 폭염특보 지도(7월 18일 오전 11시 발표). [자료 기상청]

전국 폭염특보 지도(7월 18일 오전 11시 발표). [자료 기상청]

 
경보는 35℃ 이상인 기온이 이틀 넘게 지속할 것으로 예상될 때, 주의보는 33℃ 이상인 날씨가 이틀 넘게 이어질 것으로 보일 때 각각 발령된다. 폭염 특보는 한 마디로 “무더위가 극심하니 열사병·불쾌감 등의 폭염 피해에 각별히 주의하라”는 경고인 셈이다.
 
올해 폭염이 역대 순위권 진입이 예상될 정도로 심한 까닭은 무엇일까. 기상청에 따르면 최근 유라시아 대륙이 평년보다 매우 강하게 가열되면서 대기 상층에 있는 고온 건조한 티베트 고기압이 발달해 한반도 부근으로 확장하고 있는 게 주된 이유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대기 중하층(약 5㎞ 이하)으로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은 덥고 습한 공기가 유입되고, 대기 상층(약 5~12㎞)으로도 고온의 공기가 지속해서 들어오고 있다. 게다가 하늘까지 맑아 강한 일사(日射) 효과까지 더해져 이래저래 기록적인 폭염 행진이 계속되고 있다는 얘기다.
 
최근 한반도 부근의 공기 흐름이 느려진 가운데 이러한 기압 배치가 당분간 유지돼 중기예보 범위(10일)에 드는 다음 주까지는 일단 낮에는 찜통더위 또는 불볕더위, 밤에는 열대야가 판을 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한반도 주변 폭염 관련 모식도. [자료 기상청]

최근 한반도 주변 폭염 관련 모식도. [자료 기상청]

 
절기상으로도 오는 23일(월)은 대서(大暑)다. 말 그대로 ‘큰 더위’라는 뜻으로 연중 더위가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를 가리키는 절기다. 조상들은 대서 무렵의 무더위를 ‘염소 뿔이 더위에 녹는다’는 말로 표현했다. 에어컨도 선풍기도 없던 시절, 얼마나 더웠으면 ‘염소 뿔이 더위에 녹는다'고 했을까. 대서에서 입추(8월 7일)까지 약 보름 정도는 대개 무더위 절정기다.
 
올해 장마가 뜻하지 않게 ‘반쪽 장마’로 끝나버린 틈을 타서 폭염이 더욱 기세를 부리는 형국이 됐다. 이번 장마는 초반에 게릴라성 집중호우를 몰고 오며 제법 요란하게 찾아 왔다. 하지만 45년 전인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짧은 장마로 끝나고 말았다. 평년(32일)보다 11~15일 정도 일찍 끝나 장마 기간은 제주도 21일, 남부 14일, 중부 16일에 불과했다. 전국 평균 강수량도 283.0㎜로 평년(356.1㎜)보다 적었다.


불쾌지수도 높아 각별한 '마음 관리'도 필요
전국적으로 폭염특보가 계속되고 있는 19일 오후 서울 태평로 위로 지열로 인한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저작권자 ⓒ 1980-2018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전국적으로 폭염특보가 계속되고 있는 19일 오후 서울 태평로 위로 지열로 인한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고 있다. <저작권자 ⓒ 1980-2018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앞으로 계속될 찜통더위와 열대야 등으로 큰 피해가 우려된다. 특히 체력이 약한 고령자·독거노인·신체허약자·환자의 경우 열사병 등의 온열 질환이나 기타 질환에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온과 함께 습도도 높아 불쾌지수가 덩달아 높아지므로 주변과 마찰을 일으키지 않도록 세심한 정신 관리도 필요하다.
 
최근 폭염 행진으로 전국의 온열 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온열 질환은 무더위로 인해 생기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의 질환을 가리킨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5월 20일부터 7월 16일까지 약 2개월간 발생한 온열 질환자는 모두 633명이며 이 중 6명이 사망했다. 올해는 폭염 장기화로 온열 질환자 발생도 평년 수준을 웃돌 전망이다.
 온열 질환자 633명 중 50대 이상이 87%로 대부분을 차지해 중장년층인 은퇴기 사람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워줬다. 만성질환이 있거나 노화로 체온조절 기능이 떨어지는 중장년층 이상에게 폭염이 특히 위험할 수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은퇴기 사람들은 특히 요즘 같은 때에 날씨경영을 잘 해야 한다. 폭염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서는 ▷낮 동안(특히 정오~오후 5시) 가급적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목이 마르지 않더라도)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평소보다 휴식을 더 많이 취해야 한다. ‘물·그늘·휴식’이 온열질환 예방의 3대 지름길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행정안전부(www.mois.go.kr )에서 안내하는 열사병 등 온열질환의 증상 및 대처 요령을 참고하면 도움이 된다.
 
성태원 더스쿠프 객원기자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출처: 중앙일보] "염소뿔도 녹는다"는 대서 폭염, 열대야와 함께 온다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정보+썰빠



정보+썰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8805 연인과 떠나야 할 드라마 속 해외 여행지.j… 바르셀로나 03.11 1164 0 0
8804 공수처법 민주당안 과 바른미래당안의 차이 미스터리 04.29 1164 1 0
8803 독일,스위스의 개세금 피아니스터 07.12 1164 0 0
8802 2층 버스 내부 Chivalry 10.18 1163 3 0
8801 지진시 행동요령 매뉴얼 (일본발간 한국어판)… 로우가 11.15 1163 1 0
8800 똥겜 거르는 법 [데이터] 거저줄게잘사가 01.13 1163 2 0
8799 공인인증서, 20년만에 역사 속으로···이르… 호우 03.29 1163 0 0
8798 '4월 전국 명소 TOP10' - 봄꽃여행 kimyoung 04.02 1163 0 0
8797 모기 물린 곳 긁지 마세요 쭈구미 07.16 1163 0 0
8796 종이니까 당연히 재활용 가능?…종이컵 안 되… Matilda 09.05 1163 0 0
8795 읽을거리) 전략게임의 조상님들 까밀로제스틱 10.11 1163 1 0
8794 시도때도없이 화장실…소변 횟수 줄이는 방법 … 호날두 04.04 1163 1 0
8793 집 인테리어 실패없는 색상 조합.jpg 입덕 04.12 1163 0 0
8792 야후 재팬 실검 근황 원숭이 07.24 1163 1 0
8791 2020년 첫 개봉할 디즈니 영화에 트와이스… 황금도끼 12.27 1163 0 0
8790 "간헐적 단식, 건강개선·장수에 진짜 도움된… 찌끄레기인생 12.27 1163 0 0
8789 박찬욱 감독 ‘헤어질 결심’, 14일 美개봉… 손님일뿐 10.13 1163 0 0
8788 한국은 일본을 얼마나 따라잡고 있나 철인18호 12.21 1163 0 0
8787 어설프게 아는 [처녀귀신]제대로 알자 원숭이 10.05 1162 2 1
8786 동묘가 동묘인 이유 스콧트 10.18 1162 1 0
8785 유튜브에서 현재 영화 공모자들 무료로 보실 … 펜로스 10.21 1162 0 0
8784 CGV 2D 영화 걸신 10.23 1162 1 0
8783 수험생 할인 혜택 모음 프랭클린플래너 11.23 1162 0 0
8782 컵걸이 활용 수납 팁 Kimony 04.29 1162 1 0
8781 남의 저작물로 유튜브 영상 올리던 사람들 망… 베트남전쟁 06.15 1162 1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