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한혜원 기자 = 한국인이 일생의 40%에 달하는 시간을 인터넷 사용에 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가상사설망(VPN) 서비스 기업 노드VPN은 연구조사 기관인 신트(Cint)에 의뢰해 작년 11월 15∼19일, 한국 18∼54세 성인 인터넷 사용자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조사를 보면 한국인이 온라인에 할애하는 시간은 34년으로 아시아 국가 중 가장 길었다. 2020년 기준 한국인 기대수명인 83.5년과 비교하면 40%에 달한다.
아시아에서는 대만(33년)과 싱가포르(27년)가 한국 다음으로 길었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온라인에서 보내는 국가는 브라질로, 41년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약 11년에 불과했다.

주간 단위로 살펴보면 한국인은 한주에 평균 51시간을 온라인상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8시간은 업무 관련, 33시간은 다른 온라인 활동으로 분류됐다.
대부분의 한국인은 유튜브 시청, 온라인동영상 서비스(OTT)를 통한 영상 감상 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 시청에 일주일에 20시간 이상을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인은 오전 10시 7분에 온라인 접속을 시작해 오후 9시 42분까지 지속해서 온라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http://www.yna.co.kr/view/AKR20220329085200017
우리나라가 독서량은 다른나라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데 인터넷 사용량은 높다고 함
사실 경제적으로 어려운 나라거나 즐길문화가 부족한 나라들이 인터넷 사용이 많고 집착하는걸로 유명한데 한국은 경제적 문화적으로 떨어지는 편이 아닌데도 많이 높은편이긴 함
나부터서도ㅠ 좀 줄여야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