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일본 "文대통령 3.1운동 사상자 수 언급 부적절" 주장

송고시간2019-03-02 09:56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사진 없음
김병규기자
3.1절 기념사 하는 문 대통령
3.1절 기념사 하는 문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제100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hkmpooh@yna.co.kr

(도쿄=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일본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3·1운동 당시의 사상자 수를 언급한 것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주장을 한국 정부에 전달했다.

2일 NHK 등의 전날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3.1운동 당시 사망자와 부상자 수를 언급한 것에 대해 "(한일 간) 견해가 일치하지 않은 것을 공적인 장소에서 발언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한국 정부에 전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기념사에서 일본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을 삼가면서 3·1운동 당시 "7천500여 명의 조선인이 살해됐고 1만6천여 명이 부상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어 일제 잔재 청산을 강조하면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 일본과의 협력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기념사는 한일관계 악화 속에서도 일본을 배려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3·1운동 사상자 수 언급을 문제삼으며 사실상 항의의 뜻을 한국 정부에 공식적으로 전달하고 나선 것이다.

3.1운동 100주년 기념 청년학생대회
3.1운동 100주년 기념 청년학생대회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 청년학생대회에서 평화나비 서포터즈와 청년단체 회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19.3.1 yatoya@yna.co.kr

외무성은 전날 여당 자민당이 개최한 외교부회(위원회) 등의 합동회의에서도 "역사가 중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있다. 견해가 일치되지 않은 것을 공공의 장에서 발언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일본 정부는 3·1운동 당시의 만행에 대해 사죄를 언급하지 않은 채 강제징용 판결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가 제대로 대응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은 전날 강제징용 피해자를 '구(舊)한반도 출신 노동자'라고 언급하면서 "일본 기업에 부당한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한국 정부가 확실히 대응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bkkim@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