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투자출연기관, 여성 비율 낮을수록 남녀 임금격차 커

입력
수정2019.12.09. 오전 10:01
기사원문
임화섭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 국내 최초로 22개 투자출연기관 '성별임금격차' 공시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서울시가 전체 투자·출연기관의 '성별 임금격차' 현황을 9일 공시했다.

여성 비율이 낮고 교대근무직이나 기술전문직이 많은 기관의 남녀간 임금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2개 투자·출연기관의 2018년 성별임금격차를 조사해 기관별·직급별·직종별·재직년수별·인건비구성항목별로 분석한 결과를 이날 시 홈페이지에 공시했다.

분석 대상은 2018년도 내내 근무한 각 기관의 정원내 무기계약직과 정규직 2만2천361명이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성별임금격차 집계와 마찬가지로 중위값 기준이 사용됐다.

구체적 수치가 공개된 19개 기관의 2018년 성별임금격차는 대한민국 성별임금격차(2017년 OECD 발표 34.6%)보다 대체로 작았다.

다만 서울연구원(46.42%), 서울산업진흥원(37.35%), 서울에너지공사(40.99%) 3개 기관은 그보다 컸다. 이 중 서울연구원과 서울산업진흥원은 여성 비율이 높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이 2017∼2018년에 대거 이뤄진 곳이다. 서울에너지공사는 남성의 재직기간이 여성에 비해 길고, 교대근무직을 모두 남성이 맡고 있어 격차가 컸다.

상위 직급 여성 비율이 높은 서울여성가족재단(-31.57%)과 서울장학재단은 여성 임금이 남성 임금보다 높았다. 이 중 서울장학재단은 특정 성별 인원이 5명 미만이어서 구체적 수치는 비공개로 처리됐다.

성별임금격차는 양(+)이면 남성이 여성보다, 음(-)이면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임금이 높음을 뜻한다.

서울시는 여성 노동자 비율이 낮고 평균 근속기간이 남성보다 짧은 점이 근본적·구조적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공시대상 전체 노동자 중 여성은 18%에 불과했고, 평균 근속기간은 남성이 여성보다 7.7년 길었다.

특히 규모가 크고 오래된 기관일수록 여성 비율이 낮고 여성의 평균 근속기간이 남성보다 짧은 경향이 뚜렷했다.

또 대부분 기관에서 상위직급으로 갈수록 여성비율이 낮아지고 건축·토목·기계 등 기술 전문직이 남성 중심으로 인식되는 점도 영향을 줬다고 서울시는 분석했다.

이번 공시는 국내 최초의 성평등 임금공시다. 서울시는 지난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을 맞아 공시 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한민국이 2000년 조사 이래 성별임금격차 OECD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은 물론 민간에서도 시도한 바 없는 성별임금격차 분석을 처음으로 실시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구체적인 개선노력을 본격화한다는 데에 이번 공시의 가장 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투자·출연기관에 대한 성평등 임금공시를 매년 정례화하고 앞으로 투자출연기관 소속 비정규직과 시 민간위탁기관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서울시는 9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성평등임금공시 토론회'를 개최했다.

서울시 성별임금격차개선위원회 공동위원장인 신경아 한림대 교수는 이번 공시에 대해 "성차별 없는 노동환경 조성을 위한 길고 긴 여정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limhwasop@yna.co.kr

▶확 달라진 연합뉴스 웹을 만나보세요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 ▶뭐 하고 놀까? #흥

기자 프로필

탐사보도팀장 맡다 2019년 10월 서울시 출입으로 옮겼습니다. 미국 애리조나대 바이오센서연구실 방문연구원으로 1년, 샌프란시스코특파원으로 3년여간 있었어요. 대학 전공은 물리학.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