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문화

[여행 +] 아듀! 2017…나 혼자만 알고싶은 연말 해넘이 명소

신익수 기자
입력 : 
2017-12-26 04:01:02
수정 : 
2017-12-26 10:29:50

글자크기 설정

어제와 오늘…해질 무렵 그곳에 내가 있었다
사진설명
계단식 논처럼 생긴 터키의 명물 온천 파묵칼레. 코끝은 시리지만 맨발을 온천수에 담그고 태양을 맞이할 수 있다. 가끔, 그런 곳이 있다. 나만 알고 싶은 곳. 절대 추천하고 싶지 않은 곳. 마감 초읽기에 몰렸을 때, 정말이지 여행지 아이템이 없을 때 비로소 꺼내게 되는 히든 카드 같은 곳. 그러니까 지금처럼 연말에 딱인, 절묘하면서도 은밀한 스폿. 마침 또 연말. 초읽기에 몰렸다. 히든 카드를 공개한다. 그러니 당부 한 가지. 제발, 가지 마시길. 눈으로만 보시길.

독특한 해넘이를 원하는 여행 고수들이라면 0순위에 올리는 곳이 사모아다. 날짜 변경선 덕에 세계에서 가장 해가 늦게 진다는 사모아. 이쯤 되면 여행 좀 아시는 분들, 따뜻한 남쪽나라 사모아·피지는 찍고 왔지 하실 게다. 그렇다면 이곳은 어떤가. 333개 섬으로 이뤄진 군도 피지. 여기서 세 번째로 큰 섬 타베우니란 곳. 여행 고수들 사이엔 연말·연초 버킷리스트 0순위로 꼽히는 핫스폿이다. 연말 이곳 비행편이 동나는 건 딱 하나 낡은 표지판 때문이다.

사진설명
그야말로 날것 그대로인 곳. 모든 게 제멋대로다. 그저 불쑥불쑥 솟아난 야자수 나무들. 멋대로 울퉁불퉁 휘어져 있는 천연의 해안선. 태초의 자연을 그대로 쏙 빼닮은 해변에 낡은 표지판 두 개가 보인다. 대략 30㎝ 간격. 뭐가 써 있는 걸까. 가만이 뜯어보면 단순한 단어다. '오늘(Today East)'과 '어제(Yesterday West)'? 아, 맞다. 그러니까 이곳이 날짜변경선이다. 이 두 표지판은 오늘과 어제를 표시해 놓은 '날짜변경선' 표시. 날짜변경선은 가상의 선이다. 경도 0도인 영국 그리니치천문대의 180도 반대쪽인 태평양 한가운데(경도 180도)로, 북극과 남극 사이 태평양 바다 위에 세로로 그어진다. 그 선을 기준으로 서에서 동으로 넘으면 날짜를 하루 늦추고, 동에서 서로 넘을 땐 하루를 더한다. 타베우니 해변가, 해넘이·해맞이는 이렇게 한다. '오늘' 자리에 선다. 해맞이를 한다. 그리곤 '어제' 자리로 점프. 0.1초 만에 백 투 더 퓨처, 어제로 돌아간다. 그리곤 또 한 번 해넘이·해맞이. 그야말로 '시간을 달리는 자'가 되는 거다. 0.1초 더블 해넘이·해맞이쯤은 약과다. 터키에는 더 놀라운 해넘이·해맞이 명소가 있다. 누구나 아는 버섯마을 카파도키아 열기구 해넘이·해돋이 아니냐고? 천만에. 사실 열기구 투어는 연말·연초 비추다. 날씨 때문에 기류가 불안정해질 수 있어 성공 확률은 반반이다. 터키 현지인들은 사실 파묵칼레로 몰린다.

사진설명
기사보기
이집트 클레오파트라 여왕도 이곳에서 온천을 즐겼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오래전부터 효능으로 유명한 곳. 목화솜을 뭉쳐놓은 것 같은 하얀 석회암과 하늘색 온천수로 인해 신비로운 풍경을 자아내는 파묵칼레는 계단식 논 형태다. 해가 지거나 떠오를 땐 논 형태로 나뉜 각 온천수에 햇볕이 고스란히 비쳐 거울처럼 빛난다. 수십 개로 나뉘어 빛나는 해넘이·해돋이의 몽환적인 풍경. 코끝은 차갑게 시리지만 맨발을 온천수에 담그고 수십 개로 빛나는 태양을 바라보는 건 최고의 경험일 터. 아, 잊을 뻔했다. 터키엔 해넘이·해돋이를 하면서 그 태양을 밟을 수 있는 곳도 있다. 터키 수도 앙카라 근교에 있는 투즈 호수. 요즘 떠오른 핫플레이스다. 투즈는 터키어로 '소금'이란 뜻.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소금호수다. 여름에는 물이 말라 하얀 소금이 깔린 사막 같은 느낌을 주지만 겨울에는 찰박하게 물이 차오른다. 해돋이가 시작되면 태양이 호수 바닥에 반사돼 빛나며 마치 태양이 두 개인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소금호수에 비친 그 해. 제대로 콱콱 밟아주며 사진 한 장 박으면 그게 인생샷이다. ※ 사진 제공·취재 협조 = 터키관광청·사모아관광청

[신익수 여행·레저 전문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