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빠



본문

지구 평균기온 1.5℃ 상승은‘ 기후 재앙 신호탄?’

  • 작성자: 애니콜
  • 비추천 0
  • 추천 0
  • 조회 52
  • 2024.02.23

http://www.kidshankook.kr/news/articleView.html?idxno=9600




최근 1년간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이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처음으로 1.5℃를 넘어선 것으로 관측됐다고 최근 영국 BBC 방송이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에서는 기후 변화로 공기 질이 나빠지면서 야외 활동이 건강에 해로운 날이 늘어나고, 특히 어린이들이 밖에 나가 노는 것이 갈수록 위험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기서 주목할 것이 ‘1.5℃’. 국제사회가 기후 재앙을 막기 위해 약속한 ‘마지노선’이다. 새해부터 지구촌 곳곳에서 벌어지는 이상 기후와 함께 기후 불평등, 기후위기를 벗어나는 탄소발자국 줄이기 등에 대해 들려준다.


△지구촌 이상 기후

기후변화로 봄꽃이 일찍 피면서 축제 개막일이 빨라지고 있다. 올해 광양매화축제는 3월 8일 막을 올린다. 1999년 1회 축제와 비교하면 11일 앞당겨졌다. 산수유와 벚꽃 축제도 역대 가장 이른 시기에 열린다. 2월 중순 낮 최고기온이 20℃까지 치솟다가 다음날 대설특보가 발표되는 등 변덕스러운 날씨도 이어지고 있다. 지구촌 곳곳에서도 이상기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서유럽 국가들은 폭우로 물난리가 났고, 북유럽에는 25년 만에 기록적 한파가 닥쳐왔다. 미국 테네시ㆍ미시시피 주에서는 눈 폭풍을 동반한 살인적인 추위가 찾아왔다. LA에서는 이달 초 이틀간 연평균 강수량(362㎜)의 절반가량의 비가 내리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온난화 가속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 세계 해수면 평균온도도 역대 최고였다.


△기온 1.5℃

유럽연합(EU) 기후변화 감시 기구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연구소(C3S)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1년간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이 산업화 이전과 대비해 1.52℃를 기록했다. 1.5℃는 기후변화 문제에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 숫자다. 앞서 전 세계 195개국은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COP21)을 통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을 1.5℃ 안쪽으로 유지하기로 목표를 정한 바 있다. 지구 온난화로 상승하는 기온을 그 아래로 낮추면 기후변화가 육지, 바다, 해안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어서다. 현실은 반대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온난화 때문에 높아진 기온 폭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를 넘어섰고, 현재 흐름이 계속되면 2020년대 말 파리기후협약 목표인 2℃를 돌파하게 된다.


△기후위기와 기후 불평등


기후와 환경 문제를 얘기할 때 자주 입에 오르내리는 것이 꿀벌이다. 꿀벌이 집단 폐사하고 자취를 감추는 것이 바로 기후위기의 증거이기 때문이다. 꿀벌이 멸종되면 세계적으로 식량 부족 문제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문제는 꿀벌의 멸종과 가뭄, 사막화, 식량부족 등의 기후위기가 나라마다 상황이 다르다는 것.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많이 받는 적도 부근의 가난한 나라들은 산업화로 인한 탄소배출량이 많지 않았지만 그 피해를 크게 받게 된다. 이를 ‘기후 불평등’이라고 한다. 환경 오염물질 역시 선진국이 처분하지 않은 채 개발도상국에 팔기 시작하면서 또 다른 불평등 문제도 생겨나고 있다. 여기에 온실가스의 약 80%를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과 캐나다 등 주요 20개 나라(G20)가 내뿜고 있다. 

국제구호개발기구 환경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상위 10%의 부자가 하위 10%인 가난한 사람보다 기후변화의 원인인 탄소를 최대 40% 이상 더 배출하고 있다.   



(후략)



출처 : 소년한국일보(http://www.kidshankook.kr)

추천 0 비추천 0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close]

댓글목록

이슈빠



이슈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쓰레빠 슬리퍼
176667 강경준 합의시도 무산 위기···‘상간남’ 소… 폭폭 02.25 125 0 0
176666 "한국서 인연 찾고파"…대구 수성구 방문한 … 피로엔박카스 02.25 145 0 0
176665 "손흥민, 세계에서 가장 잘생긴 축구 선수 … 오늘만유머 02.25 143 0 0
176664 삼성전자 측 "갤 S22 GOS 논란, 애플… 쉬고싶어 02.25 107 0 0
176663 일본 찾는 한국인, 올해 1000만명 달할 … 배고픈심장 02.25 67 0 0
176662 ‘파묘’ 감독 장재현 “오컬트 장인? 난 공… 살인의추억 02.25 117 0 0
176661 테일러 스위프트 공연 유치전 가열…싱가포르 … 피아니스터 02.25 104 0 0
176660 한가인 "태어나서 먹어본 라면 10봉지 안 … WhyWhyWhy 02.25 111 0 0
176659 유재석-제니 출연 '아파트404', 지울 수… 미스터리 02.25 117 0 0
176658 의협 “전공의들 직장 그만둔 것일 뿐…진료 … 시사 02.25 85 0 0
176657 홍상수, 베를린영화제서 두 번째 심사위원대상 나도좀살자좀 02.25 81 0 0
176656 한국 할머니 덕에 114kg→64kg…뉴욕셀… 기자 02.25 130 0 0
176655 의협 “개원의 연봉 2억9000만원, 40세… 로우가 02.25 113 0 0
176654 "이제 고양이 안 보여요"... 마라도서 반… Petrichor 02.25 102 0 0
176653 부산세계탁구선수권 한국 결산 기자회견 유승민… 쾌변 02.24 106 0 0
176652 뚫려버린 '데드라인'...역대급 재앙 예고 협객 02.24 134 0 0
176651 영화 ‘너의 이름은’ 프로듀서, 아동포르노 … blueblood 02.24 111 0 0
176650 “금딱지 발랐냐”… 부산시교육감, 생중계 간… 장프로 02.24 123 0 0
176649 다이빙 역사제조기 김수지 ‘12년 전 꼴찌가… DNANT 02.24 118 0 0
176648 테일러 스위프트, 지역 경제 붐 일으켰지만…… 판피린 02.24 95 0 0
176647 남자 탁구, 중국에 2-3 역전패…부산 세계… 갈증엔염산 02.24 68 0 0
176646 2024 부산세계탁구선수권 - 세계 2위 이… 삼성국민카드 02.24 84 0 0
176645 3·1절에도 이어지는 日여행 인기…"패키지 … 박사님 02.24 76 0 0
176644 "아빠 나 잡혀 있어"…우는 딸 전화에 '반… WhyWhyWhy 02.24 91 0 0
176643 "공사비 더 달라고?" 날벼락…공사비 폭등이… 닥터 02.24 120 0 0

 

 

컨텐츠 상단으로 이동